영화에서 혀 깨물고 죽던데 진짜 죽나요?
영화를 보면 경찰이 어떤 악당 조직의 지인을 잡아와서 심문하는데 혀깨물지 못하게 막다가 그 지인이 혀를 깨무니까 죽어가던데 사람이 진짜로 혀를 깨물면 죽는게 왜 죽는건가요? 혀에 혈관이 많은 건가요?
혀를 깨문다고 모두 죽지는 않습니다.
혀를 깨물었을때 죽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쇼크사
혀에는 많은 신경이 분포되어 있어서 혀를 깨물면 그 엄청난 고통이 뇌로 전달되어 쇼크사 가능성이 있습니다.
2. 과다출혈
혀에는 신기하게도 동맥이 있습니다. 바로 한가운데에 말이죠. 이 동맥이 잘리게 되면 엄청난 출혈이 일어나므로 빨리 지혈하지 못했을때 과다출혈로 죽을 수 있습니다.
3. 질식사
절단된 혀가 피와 함께 목구멍으로 넘어가 기도를 막는 경우입니다.
혀를 깨물어서 사망하기 보다는 혀를 깨물 경우 지혈이 잘 되지 않는 점 때문에 과다출혈로 사망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입안의 경우 침으로 인하여 습한 상태이며, 특히 입안의 혀를 지혈하는 방법이 용이하지 않는 것 같아요, 그래서 영화에서처럼 자결을 하거나 그럴 때 혀를 깨무는 것으로 시도하는 것 같습키다
보통은 안 죽는다고합니다. 죽는 사례도 있긴하지만 극히 일부입니다. 혀는 각종 통각신경이 몰려있는 부위라 혀가 다치면 큰 고통이 느껴진다고는 하지만 죽음에 이를 정도의 치명적이지는 않습니다. 혀를 깨물고 죽는다고하면 보통 과다출혈이나 쇼크사때문에 죽는다고 생각하지만 혀를 깨물어서 이정도까지 가기는 힘들다고 하네요
1.과다출혈-혀에 혈관이 많은건 사실이지만 모세혈관뿐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완전히 혀의 중심부를 절단하면 과다출혈로 죽을수도 있지만 그런게 아니라면 과다출혈로 죽을 확률은 적어 보입니다
2.쇼크사-혀는 맛을 느낄수있을정도로 신경이 분포하기 때문에 혀를 깨물면 엄청난 고통이 뇌에 전달되서 쇼크사로 사망할수 있습니다 다만 개인차가 너무나도 심하며 쇼크사보다는 정신을 잃는사람이 더 많습니다
3.질식-혀를 움직이는 신경인 뇌신경 12번(설하신경)의 큰 줄기는 목에 위치하고 혀에 위치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혀를 제대로 깨물어 뇌신경 12번(설하신경)이 끊어지면 혀가 기도로 말려들어가 질식사하게됩니다 다만 혀를 깨물어서 혀밑에있는 신경이 끊어질 확률이 높을까요?
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