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전기·전자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베이스 전류가 무엇인가요?????

제목 그대로 입니다.

접합 트랜지스터의 스위치 기능에 대해서 알아보던 중 베이스 전류가 일정값 이상이 되면 켜진상태가 된다고 하던데 여기서 베이스 전류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유택상 전문가
    유택상 전문가
    서울교통공사 검수팀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입니다.

    베이스 전류는 접합형 트랜지스터(BJT)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트랜지스터는 크게 세 단자, 즉 베이스, 컬렉터, 이미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베이스 전류는 이 중 베이스 단자로 들어가는 전류를 말하며, 트랜지스터가 스위칭 동작을 할 때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베이스 전류가 흐르면 소량의 전류로 트랜지스터를 온 상태로 만들어 큰 전류가 컬렉터에서 이미터로 흐르게 할 수 있습니다. 쉽게 말해, 베이스 전류는 스위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열쇠" 같은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전기전자 분야 전문가입니다.

    베이스 전류는 접합 트랜지스터에서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트랜지스터는 기본적으로 베이스, 이미터, 컬렉터 세 단자로 구성되어 있는데요, 베이스 전류는 베이스 단자로 흐르는 전류를 의미합니다. 베이스 전류가 흐르면 트랜지스터가 '켜진' 상태로 전환되면서 컬렉터에서 이미터 방향으로 큰 전류가 흐를 수 있게 됩니다. 즉, 작은 베이스 전류를 통해 큰 전류를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치 역할을 하는 것이 트랜지스터의 중요한 기능 중 하나입니다. 질문자분이 트랜지스터의 작동 메커니즘을 잘 이해하는 데에 이 설명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고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

    베이스 전류는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단자에 흐르는 전류로, 이 전류가 일정 값 이상이면

    트랜지스터가 켜져서 전류를 제어할 수 있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유순혁 전문가입니다.

    베이스 전류는 접합형 트랜지스터에서 베이스 단자로 흐르는 작은 전류를 말합니다.

    이 전류는 트랜지스터의 스위칭을 제어하며, 베이스 전류가 일정 값 이상이 되면 트랜지스터가 활성화되어 켜진상태(포화 영역)에 들어갑니다.

    이때 콜렉터와 이미터 사이에 큰 전류가 흐를 수 있어 스위치 역할을 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화 전문가입니다.

    베이스 전류라는 것은 접합 트랜지스터라 불리는 BJT의 스위칭 기능에서 언급되는 용어입니다.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라고 불리는 단자에 흐르는 전류를 의미하죠.

    BJT의 경우 세 개의 단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베이스, 컬렉터, 이미터가 포함됩니다. 이 단자들이 트랜지스터의 전류 흐름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베이스 전류가 특정 임계값 이상이면, ON 상태가 되고, 이를 활성 모드나 포화 상태라고 합니다. 이 때는 컬렉터와 이미터 사이에 전류가 흐를 수 있게 되는 것이고, 베이스 전류가 충분하지 않을 경우는 트랜지스터는 OFF 상태이며, 전류흐름이 차단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접합 트랜지스터에서 베이스 전류는 트랜지스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전류입니다. 트랜지스터는 세 가지 주요 단자 즉 이미터 베이스 컬렉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베이스 전류는 이미터에서 베이스로 흐르는 전류로 이 전류가 일정 이상이 되면 트랜지스터의 스위치가 켜져 이미터에서 컬렉터로 큰 전류가 흐르게 됩니다. 베이스 전류가 작으면 트랜지스터는 꺼진 상태로 남고, 이는 스위치가 꺼진 상태와 같다고 할 수 있습니다. 즉 베이스 전류가 트랜지스터의 동작을 온/오프 상태로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