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대출

진심자신감넘치는돈나무
진심자신감넘치는돈나무

현시점에서 고정금리 변동금리 어떤게 좋을까요?

현재 경기도 고양시에 있는 구축 아파트를 5억에 매매하여 주택담보대출을 받아야 하는데 정부 대출 규제로 고정금리나 변동금리가 상당히 높습니다.

생애최초, 신혼, 디딤돌 등 모두 해당사항 없으며

보금자리론 or 주택담보(고정or변동) 중

선택을 해야 할더 같습니다.

대출을 30년 정도로 받을 생각인데

내년쯤 정부 규제가 완화되어 금리가 떨어지게 된다면 어떤 대출을 선택하면 좋을지 고민입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장기적으로 보면은 금리가 다시 올라갈 가능성이 있다고 합니다 미국의 트럼프 대통령은 우선은 관세를 올리기로 하였기 때문에 소비자 물가가 올라갈 수가 있지요 인플레이션이 온다는 말입니다 특히 환율이 높기 때문에 우리나라 입장에서도 금리를 내리지 못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그렇게 되면은 고정 금리가 나을 수 있지요

  • 안녕하세요. 박호현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고정금리와 변동금리 중 선택은 금리의 향후 방향성과 개인의 재정 상태에 따라 다르게 접근할 필요가 있습니다. 고정금리는 초기 금리가 다소 높더라도 금리 변동에 따른 부담이 없고, 30년이라는 긴 대출 기간 동안 안정적인 상환이 가능합니다. 반면, 변동금리는 초기 금리가 낮은 편이지만, 향후 금리가 상승하면 상환 부담이 커질 수 있습니다.

    현재 금리가 높은 상황이지만, 내년 이후 정부의 금리 완화 정책이나 시장 금리 하락 가능성이 있다면 변동금리가 유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금리 하락의 확실성을 예측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부담을 최소화하려면 혼합형 대출(초기 몇 년간 고정 후 변동으로 전환)을 고려할 수도 있습니다.

    보금자리론은 고정금리 상품으로 금리 인하 가능성이 있다면 상대적으로 매력도가 낮아질 수 있지만, 안정적인 대출을 선호한다면 좋은 선택입니다. 또한, 금리 인하 시점에 맞춰 대환대출을 활용해 조건을 개선할 여지도 있습니다.

    종합해보면 금리 하락을 기대하면서도 리스크를 분산하고 싶다면 혼합형이나 변동금리를 고려하고, 안정성을 중시한다면 고정금리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해보입니다. 잘 판단하시어 좋은결과 있으시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