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로윈에 대한 행사가 여전히 진행되는 곳이 많은데, 아이들에게 어떻게 설명해주는것이 좋을까요?
할로윈 사건에 대해서도 아는 아이들도 일부 있고, 단순하게 행사에 대해서만 집중하는 아이들이 있는 경우에는, 어떻게 설명해주는게 좋을까요? 안전에 관한 이야기로 풀어가는게 옳은것인지, 어떻게 교육하시나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이태원 참사의 원인의 배경이 무엇 이었는지를 아이의 이해를 도와가며 적절한 설명을 해주는 것이 먼저 일 것 같구요.
이러한 참사의 원인은 안전에 대한 경각심과 안전에 대한 부주의로 인한 발생 되어짐이 컸기에
무엇보다 안전을 유의를 하면서 어떠한 활동을 하고 놀이를 해야 함을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알려주도록 하세요.
그리고 나서 할로윈 축제를 어떻게 활동을 하고 즐겨야 하는지 이 부분 또한 아이가 이해하고 받아들일 수 있도록
인지를 시켜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할로윈 행사에 대한 내용을 아이에게 어떻게 설명해주는 것이 좋은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이태원 할로윈 사건처럼 아이가 접한 사회적 이슈는 단순히 숨기기보다 아이의 수준에 맞게 설명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초등학생이라면 사건의 세부 내용보다는 “많은 사람이 한곳에 몰리면 위험할 수 있어”처럼 안전에 초점을 맞춰 이야기하는 것이 좋습니다. “사람이 많은 곳에서는 천천히 움직이고, 엄마 손 꼭 잡고 있어야 해”처럼 실생활에서 적용할 수 있는 안전 수칙을 알려주세요. 아이가 궁금해할 경우에는 감정을 공감해주며 “무섭고 슬픈 일이었지만, 우리가 조심하면 안전하게 지낼 수 있어”라고 안심시켜주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안녕하세요. 최호성 보육교사입니다.
이태원사건에 대해 아이에게 알려는 주고 할로윈데이의 의미와 유래에 대해 알려주면서 행사해 참여 하는것이 좋을것 같습니다. 저희 어린이집에서도 그렇게 하고 있고요
안녕하세요. 보육교사입니다.
아이의 연령에 따라 사실을 단순하고 감정적으로 안전하게 전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많은 사람이 한곳에 모여서 위험해졌던 일이 있었어, 그래서 안전이 정말 중요해" 처럼 설명하면 좋습니다.
공포보다 안전수칙과 타인 배려 중심으로 이야기하면 교육적으로 건강한 방향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아이들에게는 먼저 할로윈의 본래 의미와 문화적인 배경을 간단히 알려주는 게 좋습니다.
그 뒤에 안전 교육으로 연결하면 됩니다.
사건 자체를 자극적으로 설명하기보다는, 상황 중심으로 풀어주시고,
두려움보다는 이해와 책임감에 중심을 둔 대화가 아이들에게 가장 건강한 접근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들에게 할로윈을 설명할 때는 문화와 행사 중심으로 접근하는 것이 좋습니다. '외국에서 시작된 가을 축제이고 가면을 쓰고 사탕을 받는 놀이가 포함된다'처럼 재미와 행사 내용을 먼저 알려주고 동시에 안전교육을 자연스럽게 연결합니다. 길을 조심하며 다니기 같은 안전 수칙을 함께 가르치면 행사 즐기기와 안전 습관을 동시에 배울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