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머쓱한바위새27
머쓱한바위새2723.02.25

이번 PCE 발표 관련해서 어떠한 것들이 이에 포함되는지 궁금합니다.

PCE가 소비자들의 물가지수와 연관되어 있다는 것은 알겠는데 이게 그렇게 큰 의미가 있는 지표인지 궁금합니다. 아직 인플레가 잡히지 않아서 그런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개인소비지출(PCE)은 미국 인플레이션의 핵심 척도이며,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eral Reserve)에서 선호하는 인플레이션 지표로 사용됩니다. PCE는 소비자가 구매한 상품 및 서비스의 가격 변화를 측정하며 고정된 상품 및 서비스 바구니의 가격만 포함하는 소비자 물가 지수(CPI)보다 더 넓은 범위의 지출을 포함합니다.

    PCE는 소비자가 경험하고 있는 가격 변화에 대한 보다 정확하고 포괄적인 그림을 제공하기 때문에 중요한 지표로 간주됩니다. 연준은 PCE를 사용하여 인플레이션이 상승하는지 하락하는지 평가하고 그에 따라 통화 정책을 조정할지 여부를 결정합니다.

    인플레이션이 항상 PCE 또는 기타 인플레이션 측정으로 포착되지는 않지만 여전히 정책 입안자와 투자자 모두가 모니터링해야 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인플레이션은 경제와 금융 시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정보에 입각한 결정을 내리려면 인플레이션 동인을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자산시장을 포함한 모든 경제주체 큰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은 높은 인플레이션과 그로 인한 고금리정책을 유지하고 있는 통화정책입니다.

    PCE는 연준이 가장 중요시 하고 있은 불가지표이기 때문에, 해당 지표의 상황에 따라서 통화정책의 방향성이 결정되기 때문에 많은 투자자들이 주목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PCE(Personal Consumption Expenditure)라는 것은 개인소비지출항목을 표시하는 지표로서, 개인이 소비지출한 모든 비용을 합친 것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는 주택이나 토지에 대한 구매 비용은 제외하고 산정하게 되는데, 연준이 인플레이션을 참고하게 되는 가장 정확한 core PCE지수에서 파생된 것입니다. core PCE는 원유나 식품을 제외한 개인소비지출 지수인데 이는 가격변동성이 큰 항목을 제외한 것입니다.

    연준은 이 PCE를 보고서 향후 인플레이션에 대한 예측을 하는 것은 PCE가 소비재물가 뿐 아니라 간접재(의료비나 건강보험료)도 포함하는 보다 넓은 개념으로 물가를 산정하기 때문에 CPI보다 더 신뢰하는 지표로서 활용됩니다. 이 PCE가 높아졌다는 것은 여전히 인플레이션이 상승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에 향후 미 연준의 금리인상 속도가 다시금 빨라질 가능성이 높아진 것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황대웅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뉴욕증시는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선호하는 물가 지표가 강한 모습을 보였다는 소식에 하락했다.

    24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36.99포인트(1.02%) 하락한 32,816.92로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42.28포인트(1.05%) 떨어진 3,970.04로,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195.46포인트(1.69%) 밀린 11,394.94로 장을 마감했다.

    이번 주에만 다우지수는 3%가량 하락했고, S&P500지수는 2.7%가량, 나스닥지수는 3.3%가량 떨어졌다. 3대 지수의 주간 하락률은 올해 최대이며, S&P500지수는 지난 12월 9일로 끝난 주간 이후 최대 하락률을 보였다.

    투자자들은 연준이 선호하는 1월 물가가 강한 모습을 보이자 긴축 위험이 커질 것을 우려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PCE와 같은 경우 일정 기간 개인이 물건을 구입하거나

    서비스를 이용하는 데 지출한 모든 비용을 합친 금액이기 때문에

    구매력에 대한 지표이며 이에 물가와도 많은 연관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