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청렴한다슬기253
청렴한다슬기25323.05.13

조류(새)는 시력이 안좋은 편에 속하는

조류(새)는 시력이 안좋은 편에 속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예전에 새그물로 새를 잡는것을 본 기역도 나고,

최근에는 투명 방음벽에 새가 부딪혀 다치거나 죽기도 한다는 기사도 나오더라고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반적인 경우, 포유류에 비해서 조류의 시력이 훨씬 좋답니다.조류의 특성상, 당연히 멀리 떨어진 곳의 피식물을 찾아내어 먹이를 섭생해야 하는 관계로, 시력이 더 좋은 개체가 생존에 유리하기 때문에 진화의 정상적 과정에서 당연히 조류의 시력은 뛰어날 수 밖에 없었던 것인지도 모르겠어요

    조류는 대부분 인간과 마찬가지의 가시광선 영역을 모두 인식하는, 다시 말해 모든 색을 구분해 낼 줄 아는 원추세포가 잘 발달되어 있답니다.

    조류 중에서도 특히, 최고위 포식자에 해당하는 맹금류의 경우에는 시력이 인간에 비해 4배에서 12배까지 높습니다.

    방음벽에 부딪치는 이유는 새들은 맹금류를 제외하고 천적을 피하기 위해 눈이 얼굴 정면이 아닌 측면에 있어 시야가 좁습니다.유리 인공 구조물을 식별하기 어려운 이유 중 하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