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치과 이미지
치과의료상담
치과 이미지
치과의료상담
쌈박한오징어74
쌈박한오징어7421.12.24

충치 치료후 떼우는 재료들 중 내게 맞는 물질은?

충치 제거 후 떼우는 재료가 아말감, 금, 세라믹 중 어떤 걸로 해야 할지 궁금합니다.

금으로 했다가 뜯겨져서 다시 금으로 할지 세라믹으로 해야하는지 고민입니다. 아말감으로 해도 문제 없다는 이야기도 들리고요.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인레이 치료를 했던 치아의 경우에는 아말감으로 충전할수 있지만 범위가 넓어서 파절이 되기 쉽습니다.

    금이나 세라믹이나 요즘에는 재료가 좋아졌기 때문에 큰 차이가 없습니다.

    심미적으로 하고 싶다면 치아색으로 제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 안녕하세요. 송우식 치과의사입니다.

    충치정도와 크기에 따라 떼우는 재료 선택에 차이가 있으며 아말감은 보험이 적용되어 비용이 비교적 저렴하나 충치범위가 넓은 경우에는 금을 권장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용균 치과의사입니다.

    재료중에선 기능적으로는 금이 제일 좋습니다.

    아말감은 검은색이나서 비심미적이며 수은을 사용해서 요즘은 잘 사용하지 않습니다.

    세라믹은 치아색이라서 심미적이며 강도도 중간정도입니다.

    결과적으로 가격은 아말감, 기능은 금, 심미는 세라믹 이 우수합니다.

    재료마다 장단점이 있으므로 질문자분이 원하는 것으로 결정하세요


  • 안녕하세요. 이성영 치과의사입니다.

    치료를 해야 하는 치아의 정확한 상태를 알 수 없기 때문에 정확한 판단은 어렵습니다.

    치과치료는 단순히 '어떤 재료가 좋은가'로 결정되지 않으며, 치아의 현재 상태와 다른 구강상태를 고려하여, 상황마다 적합한 재료가 다를 수 있습니다.

    다만 질문내용에서 이미 기존에 금으로 치료했던 치아라고 했는데, 이는 금 인레이 치료를 했던 상황으로 보이며, 첫 치료시 이미 충치의 범위가 컸던 경우로 보입니다.

    이후 이 부위에 추가적으로 충치가 발생해 금 인레이를 제거하고 다시 치료를 하는 상황으로 보이며, 이런 경우에는 아말감을 사용하는 것이 제한됩니다.

    금 또는 세라믹 중에서는 해당 치아가 기능적으로 중요한 어금니라면 금이 추천되고 심미성이 중요한 부위라면 세라믹이 추천될 수 있으나, 이 역시도 일률적인 기준이 아닙니다.

    결국 해당 치아의 정확한 상태를 알아야 판단이 가능하며, 담당 선생님과 상의하시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

    금: 전통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어온 보철물입니다. 금의 경우 연성과 전성이 좋아서 물리적 성질이 우수하기에 주조를 하여 보철물을 제작하던 과거에 많이 사용했습니다. 최근에는 사용 빈도가 감소추세입니다.

    PFM(은색 보철물이지만 은이 아닙니다): 금과 마찬가지로 주조를 통해 제작한 후 치아색이 나는 도재를 축성하여 제작합니다. 물리적 성질은 금에 비해 떨어지지만 도재를 축성하여 치아 색을 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또한 최근에는 사용이 감소추세입니다.

    지르코니아: 금이나 PFM과 같이 수작업으로 제작해야하는 재료에 반해, 지르코니아는 최근 디지털 치의학의 도입으로 가장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재료입니다. 금에 못지 않은 강도를 가졌으며 치아색이 나는 보철물이라는 큰 장점도 가졌습니다. 주조를 통해 만드는 것이 아니고 기계를 통해 깎는 방식이기에 수작업으로 만드는게 아니라 기계가 만듭니다.

    세라믹: 심미보철 분야에서 주로 사용된 재료입니다. 가장 심미적이나 강도에 문제가 있어서 어금니에는 사용되지 않고 주로 앞니에만 사용되어왔습니다. 최근에는 지르코니아 블럭의 발전으로 심미성이 강화된 지르코니아가 나오고 있어서 사용이 감소하는 추세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입니다.

    현재로서는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재료는 레진입니다.

    아말감은 과거에 많이 사용했으나 현재는 사용하지 않고 있습니다. 다만 수복 범위가 큰 경우에는 레진 뿐만 아니라 금, 세라믹 등도 진행하게 됩니다. 수복 범위가 크다면 단순히 아말감으로는 불가능합니다. 범위가 크다면 세라믹, 레진, 금 그리고 지르코니아에서 선택해야 하며 이는 심미적으로 얼마나 중요시 여기느냐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이정현 치과의사입니다.

    아말감은 수은을 혼합하는 것이기 때문에 요새 잘 권하지 않습니다.

    보통 금으로 한것을 뜯었다면 다시 금으로 때우는경우가 많습니다.

    심미성을 중요하게 생각하신다면 세라믹이나 레진인레이를 고려할수도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1.12.24

    안녕하세요. 장인아 치위생사입니다.

    아말감-저렴/유해성

    레진 -저렴 /강도약함, 변색

    세라믹 -심미적.마모적음/파절

    금- 강도우수/심미성떨어짐

    치아의 위치나 기능을 고려해서 선택하면 좋을거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진 치과의사/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말감은 요즘 치과에서 거의 사용을 하지 않습니다. 수은이라는 재료때문이죠.

    치료햇던 자리가 떨어져 나갓다고 하신거 보니 인레이 치료를 하시고 떨어지신것 같네요.

    재료는 환자분의 선택입니다. 제 개인적은 견해는 금값이 올라서 가격이 많이 상승했으니, 세라믹으로 하셔도 무방할것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