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건강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건강상담
NoTouch
NoTouch24.02.26

매년 같은 시기에 독감주사를 맞는데...실제로 독감 주사를 매년 맞아야 되는지?...

나이
38
성별
남성

매년 같은 시기에 독감주사를 맞는데...실제로 독감 주사를 매년 맞아야 되는지?...

독감주사를 맞으면 감기를 얼마나 막아주는 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병관 의사입니다.

    아시다시피 독감검사가 감기를 막아주는 건 아니고, influenza 바이러스 감염 예방효과가 있습니다.

    걸리더라도 증상이 경미하게 됩니다. 건강한 성인에서는,, 걸려도 며칠 고생하고 회복되기 때문에,, 꼭 맞아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아파서 고생하기 싫으면 맞아도 되고, 노약자나 임신부등이 아니라면 필수 접종이 필요한것은 아닙니다.


  • 안녕하세요. 최성훈 의사입니다.

    독감 바이러스와 감기 바이러슨 다른 병원체이므로 독감 예방접종은 감기 예방에 효과가 없습니다.

    독감 바이러스는 변이가 심하므로 예방적 효과를 위해서는 매해 접종이 권고 됩니다.


  • 안녕하세요. 강성주 의사입니다.

    독감의 경우 매년 유행하는 바이러스가 달라지기 때문에 매년 접종을 추천드립니다.

    독감의 경우 일반감기 예방효과는 없으며 독감에 대한 예방효과 및 중증악화 방지 기능 등이 있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독감 주사, 즉 인플루엔자 백신은 매년 접종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이유는 여러 가지입니다:

    1. 독감 바이러스의 변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지속적으로 변이하기 때문에, 매년 새로운 유행하는 바이러스에 대응하기 위해 백신의 조성이 업데이트됩니다. 따라서 매년 접종을 통해 최신 변이에 대한 보호를 받을 수 있습니다.

    2. 면역 지속 기간: 인플루엔자 백신으로 인한 면역은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감소합니다. 일반적으로 백신의 효과는 접종 후 6개월에서 1년 사이로 가장 높게 유지되며, 이후 점차 감소합니다. 이는 다음 시즌 독감 유행 전에 새로운 접종이 필요함을 의미합니다.

    독감 백신은 독감(인플루엔자)을 예방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하지만 감기와 독감은 다른 바이러스가 원인이기 때문에, 독감 백신이 감기를 예방하는 데에는 직접적인 효과가 없습니다. 감기는 주로 라이노바이러스와 같은 다른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며, 이에 대한 백신은 현재 없습니다.

    그러나 독감 백신은 독감에 의한 심각한 합병증, 입원, 심지어 사망을 예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특히 고위험군(예: 노인, 만성 질환자, 면역 저하자 등)에게는 독감 백신이 매우 중요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독감 백신은 매년 접종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감기가 아닌 독감을 예방하기 위한 것입니다. 독감 예방을 위해 매년 가을이나 겨울철 시작 전에 접종을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독감 바이러스는 매년 유행하는 아종이 달라지기 때문에 매년 새로 접종을 하는 것이고, 70% 이상의 예방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다만 독감과 감기는 완전히 다른 질환이며 독감 접종을 받더라도 감기를 예방할 수 없습니다.


    저의 답변이 부족하겠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독감은 변이가 쉽게 일어나기 때문에 당해의 유행 기간이 지나고 다음해가 되어서 유행기간이 되었을 때가 되면 다른 종류의 바이러스가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매년 예방을 위해서는 접종을 맞아주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