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튼튼한이구아나70
튼튼한이구아나7023.12.22

가위눌림이 일어나면 사람은 어떤 현상을 겪습니까?

나이
26
성별
남성

사람이 심리적, 육체적인 이유로 잠을 잘못 자면 가위눌림이 발생한다고 합니다. 가위에 눌려진다면 사람은 어떠한 현상을 겪는지 구체적으로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가위눌림이라는 것은, 몸은 깨어나지 못했는데 뇌가 잠에서 깨어난 상황입니다. 그러니 몸은 움직이지 못하는데, 뇌와 가까운 안구정도는 움직이는 경우가 있어서 보이지 않는 무언가를 본다고 인식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됩니다. 그러나 이는 우리 뇌가 만들어낸 이미지이고 실제로 존재하는 것을 보는 것은 아닙니다.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수면마비, 일반적으로 가위눌림이라고 불리는 현상, 의학적으로는 수면마비라고 부릅니다. 이는 주로 수면 시작 또는 수면 마무리 시에 나타나며, 특히 꿈을 꾸는 렘수면(REM sleep) 직후에 골격근의 마비가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수면마비는 시작부터 종료까지 급격하게 나타나며, 주로 1~4분 동안 지속됩니다. 이러한 상태에서 어떤 소리나 신체 접촉 등으로 깨어날 수 있습니다. 렘수면 단계에서는 꿈을 꾸지만, 꿈 내용이 행동으로 나타나지 않도록 중요한 근육을 제외한 대부분의 근육을 마비시킵니다. 일반적인 수면에서는 렘수면에서 벗어나 비렘수면(non-REM sleep) 단계로 진입한 후에 수면마비 현상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그러나 렘수면에서 바로 깨어나는 경우, 깨어있거나 반깨어있는 상태에서 움직일 수 없고, 눈의 움직임은 보존되지만 심한 눈 깜빡임을 동반하는 움직임을 시도할 때 실현되지 않으며, 질식 느낌이나 환각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수면마비는 수면 부족, 불규칙한 생활 패턴, 과도한 음주, 수면제 남용 등의 이유로 발생할 수 있으며, 스트레스나 강한 시각적 자극과 같은 요인으로 인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종종 아침에 깨어날 때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수면마비는 일반적으로 일시적이며, 특별한 치료가 필요하지 않을 때가 많습니다. 이러한 경험은 별다른 후유증 없이 일시적으로 지나가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러나 만약 수면마비가 지속되거나 가족력에 해당 현상이 있거나 기면병(narcolepsy)과 관련이 있다고 의심되는 경우, 의사와 상담하여 전문적인 조언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가족력이나 기면병과 관련된 경우, 수면마비가 만성화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에 따른 치료 및 관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생활 습관을 조절하고 수면 부족을 피하며, 건강한 수면 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며 추가적인 질문은 아래 댓글로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가위 눌리는 것은 수면 마비라고 합니다. 몸은 아직 잠에서 덜 깬 상태인데, 정신은 미리 깬 상태이지요. 그래서 몸을 움직일 수 없기 때문에 불안함을 느끼는 것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