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재료공학

악어와악어새12
악어와악어새12

흙을 구워 만든 도자기가 물에 젖어도 쉽게 부서지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흙은 물에 젖으면 쉽게 형태가 변하는데요 흙을 구워 만든 도자기가 물에 젖어도 쉽게 부서지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욱 전문가입니다.

    흙을 구워 만든 도자기는 고온에서 굽는 과정인 소성을 통해 강도를 얻습니다. 소성 시 점토 입자들이 서로 결합하여 밀도가 높고 단단한 구조를 형성하게 되어, 물어 젖어도 쉽게 부서지지 않습니다. 또한, 유리질의 성분이 형성되면서 도자기가 물과의 반응에 강한 내구성을 가지게됩니다.

  • 안녕하세요. 한성민 전문가입니다.

    일단 도자기의 형태를 빚으며 물과함께 누르고, 돌리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단순히 쌓여있는 구조보다 밀한 구조를 갖게됩니다.

    또한 고열을 받으면 유리처럼

    분자구조 자체가 변형되었기 때문에 더이상 부서지지 않습니다. 원래는 흙 입자간 별도로 떨어져있었지만, 녹아서 변형되어 이어진 구조를 갖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화 박사입니다.

    흙을 구워 만든 도자기가 물에 젖어도 부서지지 않는 주된 이유는 고온에서 구워지며 흙 입자 사이에 화학 결합이 형성되기 때문입니다. 이것을 소결이라고 하며, 이 과정에서 흙은 치밀한 구조로 변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신란희 전문가입니다.

    도자기는 고온에서 구워져 결정 구조가 치밀해지며 화학적 변화가 일어나기 때문에

    물에 젖어도 형태가 변하거나 부서지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흙을 구워 만든 도자기가 물에 젖어도 쉽게 부서지지 않는 이유는 고온에서 소성 과정을 거치면서 구조가 단단하게 변하기 때문입니다. 도자기를 구울 때 흙 속의 입자들은 고온에서 서로 밀착되고 화학적으로 결합하여 치밀한 구조를 형성합니다. 이 과정에서 흙 입자들 사이의 공극이 줄어들고 유리질화 현상이 발생해 물이 쉽게 침투하지 못하는 방수성이 생깁니다. 따라서 구워진 도자기는 물에 젖더라도 형태가 변하거나 쉽게 부서지지 않고 단단함을 유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