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역과정과 비가역과정, 가역반응과 비가역반응은 어떤 차이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화학에서는 가역과정과 비가역과정이 있고, 비가역과정은 처음과 최종은 알 수 있으나 중간 경로는 알 수 없는 것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가역반응과 비가역반응이라는 것도 있는데요, 각각이 어떻게 다른 것인지 궁금합니다.
말씀하신 가역과정, 비가역과정과 가역반응, 비가역반응은 용어가 비슷해서 헷갈리지만, 다루는 범위와 관점이 서로 다른데요, 우선 가역과정과 비가역과정이라는 구분은 열역학적 과정에 대한 구분입니다. 가역과정은 계와 주위가 아주 미세한 변화를 통해서 진행되는 이상적인 과정인데요, 진행 방향을 거꾸로 하면 계와 주위 모두 원래 상태로 완전히 되돌릴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이상기체가 무한히 천천히 팽창하거나 압축되는 과정이 있으며 현실에서는 거의 불가능하고, 이론적 기준점으로 사용됩니다. 반면에 비가역과정은 실제 자연계에서 일어나는 모든 과정이 여기에 해당하는데요 마찰, 열전달, 자발적 팽창, 화학 반응 등은 모두 비가역적이며 이때 방향을 거꾸로 돌려도 계와 주위가 원래 상태로 완전히 복귀하지 못합니다. 다음으로 가역반응과 비가역반응에 대한 구분은 화학반응에 관한 것인데요, 가역반응은 반응물이 생성물로 변할 수 있고, 동시에 생성물도 반응물로 되돌아갈 수 있는 반응입니다으로 일정 조건(온도, 압력 등)에서 화학 평형 상태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비가역반응은 한 방향으로만 진행되어 사실상 되돌아가지 않는 반응인데요 반응이 매우 빠르거나, 생성물이 안정하여 역반응 확률이 거의 0에 가까운 경우입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정철 박사입니다.
가역반응은 왔다갔다할수 있는 반응입니다 페트병을 예로 녹여서 재사용할수 있죠 비가역반응은 한방향 반응입니다 만들어지면 그 전으로 못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