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Jy천사1004
Jy천사100423.12.04

고려시대의 중추원은 어떤 조직인지?

안녕하세요? 고려시대 전기에 중추원이라는 조직이 있었던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중추원은 어떠한 역할을 하는곳이었는지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2.04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중추원이 어떤 조직인지 궁금하군요.

    고려시대 왕명 출납·궁궐·숙위(宿衛)·군국기무 등의 정무를 담당한 중앙 관청으로, 추밀원 또는 밀직사로 불리기도 했습니다.

    내부적으로 군국기무, 특히 군정을 담당하던 정3품 이상의 추밀과 비서로서 왕명 출납을 담당하던 정3품 승선으로 구분된다고 합니다.
    추부(樞府)라고도 하며 중서문하성과 아울러 양부라고도 합니다.

    고려에서는 성종이 재위하던 991년(성종 10) 병관시랑 한언공의 건의로 북송의 추밀원을 따라서 중추원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설치되었습니다.
    현종 즉위 직후 강조가 중추원을 폐지, 중대성을 설치하여 초대 중대성 장관인 중대사가 되었다가 강조 실각 뒤 1011년(현종 2) 중대성이 없어지고 다시 설치되었고 강감찬이 중추사가 되었다. 1095년(헌종 1)에는 추밀원으로 바뀌었습니다.
    원 간섭기 관제 격하로 1275년(충렬왕 1) 밀직사로 바뀌었습니다.
    1356년(공민왕 5) 옛 제도에 따라 추밀원으로 바뀌었다가 1362년(공민왕 11) 다시 밀직사로 바뀌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중추원은 고려시대 군사기무와 왕명출납, 숙위를 담당하던 중앙관부입니다. 991년(성종 10)에 한언공의 건의에 따라 송나라의 추밀원을 모방해 설치하고, 사(使) 2인과 부사 2인을 두었으며 그 뒤 직학사, 승선 등의 관직이 더해졌습니다.고려시대의 중추원은 정치적으로 왕권을 강화, 안정시키는 역할을 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중추원은 고려시대 왕명 출납·궁궐·숙위(宿衛)·군국기무 등의 정무를 담당한 중앙 관청을 말합니다.


  •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중추원은 고려시대의 국가 기밀과 왕명을 출납을 담당하는 기구입니다. 특히 2품 이상의 고위 관리로 구성된 추밀은 재신과 함께 도병마사와 식목도감의 재추회의에 참여하여 국정의 논의합니다. 또는 3품 이하의 승선은 왕의 비서로 왕명을 출납하고, 조선의 승정원으로 발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