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김솔 과학전문가입니다.
비가 만들어지는 높은 하늘은 기온이 매우 낮기 때문에 공기 중에 미세한 얼음 조각이 떠다니는데 이 얼음 조각은 근처의 수증기를 흡수하면서 점점 크기가 커지고 일정 크기 이상이 되면 이들은 자신의 무게를 이기지 못하고 지상으로 떨어지게 됩니다. 평소대로라면 이 얼음 조각은 매우 작으므로 떨어지면서 녹아 비가 되는데, 지상의 기온이 낮아 미처 녹지 못하면 눈이 되는 겁니다.
이 얼음 조각이 강한 상승기류를 만났을 때 이 얼음조각은 떨어지다 말고 상승기류에 떠밀려 올라가서 계속 수증기를 흡수하며 점점 더 굵어진다. 그러다 상승기류가 약해지거나 상승기류로도 더 이상 올릴 수 없을 정도로 무거워지면 그제서야 이 얼음 덩어리는 녹지도 않고 지상으로 덩어리째 떨어지는데, 이것이 바로 우박입니다.
여름이나 가을에는 원래 있던 공기가 물러가고 새로운 공기가 다가오면서 차가운 공기와 뜨거운 공기가 만나는 경우가 많아지는데 이 때문에 계절의 중간보다는 환절기에, 특히 초여름에 우박이 많이 생기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