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뽀로로
뽀로로23.08.23

우박이 만들어지는 원리가 어떻게 되나요?

눈과는 다르게 얼음덩어리 형태로 떨어지는 우박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건지 그 원리가 궁금합니다.

또한 우박은 계절 상관없이 내릴 수 있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 내부 빙정에서 눈이 만들어지고, 충분히 무거워져 상승기류를 이기고 떨어지기 시작합니다. 만일 이대로 지상까지 떨어지면 눈이 되고 중간에 녹으면 비가 됩니다.

    하지만 구름 일부 영역에 따뜻한 공기가 유입되며 대기가 불안정해지고 상승기류가 있는 곳으로 떨어진 눈이나 빗방울은 다시 상층으로 상승하며 얼어버리고 얼어버린 물방울 표면에 추가로 수증기가 얼어 들러붙게 됩니다.

    그리고 다시 상승기류를 이겨낼 정도로 충분히 성장하고 무거워지면 하강하기 시작하는데, 그대로 낙하한다면 작은 우박이 되지만 다시 상승기류를 타면 더욱 크게 성장하여 대형 우박이 되어 떨어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박은 눈이 생성되는 원리와는 조금 다른데, 우선 강한 상승 기류가 존재해야 합니다. 이 상승기류에 의해서 따뜻한 공기가 상승하면서 압축되고 이 압축된 공기가 차가워지면서 얼어 우박이 형성됩니다. 이 생성된 우박이 무게가 증가하게 되면 지상으로 하강하게 되는 것 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박은 상승기류를 타고 올라가는 물방울들이 응결되면서 우박이 되는것입니다. 상승기류가 강하면 강할수록 큰 우박이 만들어 집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박은 강한 상승기류가 있는 구름에서 만들어집니다. 상승기류는 찬 공기가 따뜻한 공기 위로 올라가는 현상입니다. 찬 공기는 따뜻한 공기보다 무겁기 때문에, 따뜻한 공기 위로 올라가면서 압축됩니다. 압축된 찬 공기는 온도가 내려가고, 물방울이 얼어 우박이 됩니다. 우박은 계절에 상관없이 내릴 수 있습니다. 그러나 우박이 가장 많이 내리는 계절은 여름입니다. 그 이유는 여름에는 대기의 온도가 높기 때문에, 강한 상승기류가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여름에는 습도가 높기 때문에, 더 많은 물방울이 구름에 형성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비가 만들어지는 높은 하늘은 기온이 매우 낮기 때문에 공기 중에 빙정이라는 아주 작은 얼음 결정이 떠다닌다. 이 얼음 결정은 근처의 수증기또는 과냉각 물방울을 흡수하면서 점점 크기가 커지는데, 일정 크기 이상이 되면 이들은 자신의 무게를 이기지 못하고 지상으로 떨어지게 된다. 평소대로라면 이 얼음 조각은 매우 작으므로 떨어지면서 녹아 비가 되는데, 지상의 기온이 낮아 미처 녹지 못하면 눈이 된다. 애매한 경우 진눈깨비가 된다.문제는 이 얼음 결정이 강한 상승기류를 만났을 때이다. 이 경우 이 얼음 결정은 떨어지다 말고 상승기류에 떠밀려 올라가서 계속 수증기를 흡수하며 점점 더 굵어진다. 하지만 얼음 조각이 계속 몸집을 불려 나가면 나중에는 떨어지는 법이다. 그러다 상승기류가 약해지거나 상승기류로도 더 이상 올릴 수 없을 정도로 무거워지면 그제서야 이 얼음 덩어리는 녹지도 않고 지상으로 덩어리째 떨어지는데, 이것이 바로 우박이다.

    출처 : 나무위키 - 우박


  • 안녕하세요. 손호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박은 눈의 결정 주위에 차가운 물방울이 얼어붙어 지상에 떨어 지는 지름 5mm 이상의 얼음덩어리를 일컫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우박은 상층과 하층의 기온차이가 크게 나는 봄과 가을에 주로 발생하며,

    지상의 기온이 영하로 내려가는 겨울은 거의 발생하지 않습니다.


  • 우박은 대기 속에서 발생하는 과정을 통해 형성되며, 주로 높은 고도에서의 냉각과 응축에 의해 만들어집니다. 우박의 형성 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상승 기류: 대기 중에는 습도와 온도의 차이에 따라 수증기가 포함된 공기가 높은 지점으로 상승하는 기류가 발생합니다.

    2. 얼음 핵 형성: 상승 기류에서는 수증기가 냉각되면서 얼음 결정이 형성됩니다. 이 때 얼음 결정은 주로 미세한 먼지나 물방울 등이 모이는 결정 핵으로써 작용합니다.

    3. 층 구조 형성: 얼음 결정이 형성되면, 이것을 둘러싸고 있는 수증기가 응축되어 얼음 결정 주변에 층을 형성합니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면서 얼음 결정이 점점 커져갑니다.

    4. 추락: 얼음 결정이 충분히 커지면, 상승 기류에서 더 이상 지지하지 못하고 지면으로 추락하게 됩니다. 이때 추락하면서 주변의 수증기가 얼음 결정 주변으로 응축되며, 얼음이 더 커져가는 형태로 우박이 형성됩니다.

    우박은 주로 봄과 여름철에 발생하는 현상으로서, 기온 차이가 큰 구름이나 대기 상태에서 형성됩니다. 일반적으로 추운 계절인 겨울에는 우박이 발생하기 어려우며, 추운 기온으로 인해 구름이나 대기 중의 수증기가 빙결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박은 비가되어 내리기전 물방울들이 강한상승기류를 받아 다시구름내부로들어가 얼어붙으며 만들어집니다.

    크기가커지다가 상승기류를 이겨내면 다시 떨어지게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수증기 분자들이 응결핵에 응결되면, 물방울이 형성됩니다. 이 물방울은 초기에는 액체 상태로 존재하지만, 주위 온도가 0도 미만인 경우에는 곧바로 얼어붙게 됩니다. 얼음 결정이 계속해서 성장하면서, 대기 중에서 다른 물방울들과 충돌하게 됩니다. 이 충돌로 인해 얼음 결정은 더 큰 우박으로 형성되며, 이 과정을 반복하면서 최종적으로 우박이 형성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