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여성은 임신 가능나이가 있는데 남자도 그런가요?
안녕하세요
여자는 가임기 해서 임신 가능한 연령대가 있고 노산 이후 폐경되면 안되는걸로 아는데요
남자도 임신? 가능나이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
여성의 경우 태어날 때 난자의 수가 정해져 있으며 사춘기부터 시작된 배란을 통해 점진적으로 소모가 되고 일부의 경우를 제외하면 대부분 모두 소진 시 폐경에 이르게 됩니다.
반면 남성의 경우 정자의 생성이 반복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노화에 의하여 정자의 질이 떨어져 가임 가능성이 낮아질 수 있겠으나 가임 나이가 정해져 있진 않습니다.
다만 정자의 수나 활동성이 떨어지는 경우 난임이나 불임의 원인이 될 순 있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의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여성의 경우 가임기가 있어 임신 가능한 연령대가 정해져 있다는 점은 많은 분들이 알고 있는 사실입니다. 여성은 일반적으로 폐경이 오게 되면 자연적으로 임신이 불가능해지지만, 남성의 경우는 조금 다릅니다. 남성은 생물학적으로 여성처럼 명확한 가임기의 한계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즉, 나이가 들어도 많은 남성이 계속해서 정자를 생산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나이가 들면서 남성의 생식 능력에도 변화가 생길 수 있습니다. 나이가 많아질수록 정자의 질이 저하될 수 있고, 이는 임신 성공률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혈류량 감소나 호르몬 변화로 인해 정자의 운동성이나 건강한 정자 수가 줄어드는 경향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한마디로 나이가 들수록 임신이 가능하지 않다는 말은 아니지만 임신 가능성이 줄어들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이와 함께 고령의 아버지에게서 태어난 아이들은 유전적 돌연변이나 특정한 발달 장애의 위험이 조금 더 높아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들도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남성도 생식 계획을 세울 때 나이를 고려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남성은 여성과는 달리 명확한 "임신 가능 연령"이라는 개념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여성의 경우, 가임기와 폐경이라는 생리적인 주기가 명확하게 구분되어 있지만, 남성은 나이가 들어도 생리적으로 임신이 가능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다만 남성의 경우, 정자의 생산은 나이가 들어도 계속되지만, 40대 중반 이후부터 정자의 질이나 수가 점차 감소할 수는 있어요. 그럼에도 나이가 많은 남성도 여전히 생식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정자의 질이 저하된다고 해도 임신이 불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다만, 고령의 남성이 아이를 가질 경우, 정자의 질 저하로 인해 아이의 건강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존재할 수 있죠. 연구에 따르면, 나이가 많은 남성의 정자는 유전적 결함이나 장애를 가진 자녀를 가질 확률이 더 높다고 알려져 있어요.
따라서 남성에게는 명확한 "임신 가능 연령"이라는 기준은 없지만, 나이가 들수록 생리적 변화가 일어나며 정자의 질과 양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자녀를 계획하고 있다면, 건강한 정자 생산을 위한 관리가 중요하고, 고령의 남성이라면 비뇨의학과 의사와의 상담을 통해 생식 건강을 점검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