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시뻘건무당벌레33
시뻘건무당벌레33
24.01.05

형광등 수명에 관한 질문입니다. 알려주세요.

아직 LED등이 아니라

예전 방식의 형광등을 쓰고 있는데요.

수명이 다 할 때쯤이면 형광등의 소켓근처가 까맣게 색이 들던데요.

왜 이런 현상이 발생하나요?

LED는 수명이 거의 반영구적이라고 하는데

형광등은 수명이 왜 한정되어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4.01.05

    안녕하세요. 서수용 과학전문가입니다. 형광등은 수은을 이용하여 형광물질이 염화하여 점점 광속이 감소되어 빛의양이 줄어들어 수명을 다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형광등의 수명이 왜 한정되어 있는지 궁금하신 것 같아요. 형광등은 기본적으로 가스 방전을 이용해 빛을 발생시키는데요. 이 가스 방전 과정에서는 수명이 짧은 물질이 사용되기 때문에 형광등의 수명도 한정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형광등은 빛을 발생시키는 과정에서 열이 발생하는데 이 열이 형광등 내부의 부품들을 손상시키고 결국 수명을 단축시키는 요인이 됩니다. 반면에 LED는 열이 거의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수명이 반영구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형광등의 소켓 근처가 까맣게 색이 들어가는 현상은 형광등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이 소켓 근처의 부품들을 손상시키기 때문입니다. 이는 형광등의 수명이 다가오면서 더욱 심해지는 현상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LED는 형광등보다 수명이 더 길고 열에 민감하지 않아서 소켓 근처가 까맣게 색이 들어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LED는 에너지 소비도 형광등보다 훨씬 적기 때문에 더욱 환경 친화적인 조명 방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형광등과 LED의 차이점을 알아보신 후에는 LED 조명을 사용해보시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을 것 같아요.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형광등 소켓 근처가 검게 변하는 현상은 형광등의 사용 중 발생하는 현상 중 하나인 "염화 효과"라고 불리는 현상입니다. 이는 형광등의 작동 동안 발생하는 열과 특정 물질의 반응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형광등은 작동 시 유리 튜브 안에 있는 수은 증기에 전기를 통해 발광체인 인광체를 활성화시킵니다. 그러나 수은 증기는 유리 튜브에 부착된 형광체와 소켓 근처의 전극과 상호작용하여 수은 염화물을 형성합니다. 이 수은 염화물이 형광등 소켓 근처에 쌓이면서 검은 색으로 변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형광등의 수명이 제한된 이유는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결정됩니다. 첫째로, 형광등은 작동 시 수은 증기와 전기를 통한 발광 과정에서 점차적으로 소모됩니다. 둘째로, 형광등의 전극은 점차적으로 소모되어 작동에 필요한 전류를 유지하기 어려워집니다. 이러한 요소들로 인해 형광등의 밝기가 저하되고, 결국 수명이 다해 교체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