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자격증

보험설계사 자격증

더힘쎈
더힘쎈

보험사 마다 보험금 부지금율 알려주세요.

보험사 마다 보험금 부지금율 알려주세요.

생명보험사 손해보험사 알아보고 있는데

손해보험사는 생명사가 지급률이 안좋고 암이나 심혈관질환에 범위가 낮아 잘 안준다고하고

생명사는 손해보험사가 지금률이 낮다고 하고

또한 보험사 마다 흥국 하나 메리츠가 지급률이 상당히 안좋다고도 하는데

인터넷에 15~23년 대충 부지급률 이런거 찾아보면

0.5%~1.5% 정도로도 가장 최저와 최고를 찾아내면 2~3%도 나고 보통은 0.몇%차이로 미비한데

이게 정말 지급률 차이가 있고

정말 잘 안주는곳이 있나요?

또한 생명사랑 손해사 차이도 범위가 있고

정말 특정 보험사가 잘 안주는곳이 있는지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원태 보험전문가입니다.

    보험금 부지급의 이유는 보험 가입할때 고객의 고지의무위반이 않습니다 대부분 조기사고로 현장조사나 심사하면 잊어버리고 생각이 안나서등의 이유로 고지를 하지 않아서 보험금지급이 거절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대형 보험사는 지급율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빈 보험전문가입니다.

    보험금 부지급률은 보험사마다 차이가 있으며 손해보험사는 청구 빈도가 높아 부지급률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습니다. 생명보험사는 일반적으로 부지급률이 낮지만 특정 상품이나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현대해상이나 흥국화재와 같은 보험사는 부지급률이 높게 나타날 수 있으니 가입 전 약관을 꼼꼼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보험금 청구 시 진단서의 질병 코드가 맞아야 지급이 이루어지니 이 점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보험사 선택 시 부지급률뿐만 아니라 재무 건전성도 고려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건강한 보험 가입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안창훈 보험전문가입니다.

    1. 보험금 부지급률이란?
    • 정의: 보험금 부지급률은 전체 보험금 청구 건수 대비 지급이 거절된 건수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 계산식: 부지급률 (%) = (부지급 건수 / 총 청구 건수) × 100

    2. 생명보험사 vs. 손해보험사 부지급률 비교
    • 일반적으로:

      • 손해보험사는 실손보험 등 청구 빈도가 높은 상품이 많아 부지급률이 생명보험사보다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습니다. ​

    3. 보험사별 부지급률 현황
    • 현대해상: 2021년 기준 부지급률 1.8%로 손해보험사 중 가장 높았습니다. ​

    • 흥국화재: 상해보험 부지급률이 5.3%로 높게 나타났습니다. ​

    • DB손해보험: 질병보험 부지급률이 4.7%로 보고되었습니다. ​

    • 삼성생명: 2021년 부지급 건수가 3,669건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 교보생명: 부지급 불만족도가 0.59%로 생명보험사 중 가장 높았습니다.

    4. 부지급률 해석 시 유의사항
    • 수치의 의미: 부지급률이 높다는 것은 해당 보험사가 보험금 청구에 대해 거절하는 비율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지만, 보험사의 재무 건전성이나 전체적인 신뢰도를 직접적으로 나타내는 지표는 아닙니다.

    • 상품 특성 고려: 특정 보험사의 부지급률이 높게 나타나는 것은 판매하는 상품의 특성이나 청구 빈도와도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5. 보험 가입 시 고려사항
    • 부지급률 참고: 부지급률이 낮은 보험사를 선택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지만, 이는 참고 지표 중 하나일 뿐입니다.

    • 약관 확인: 각 보험사의 약관과 보장 범위를 꼼꼼히 확인하여 본인에게 적합한지 판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재무 건전성 확인: 보험사의 재무 건전성 지표(RBC 비율 등)를 확인하여 지급 능력이 충분한지 살펴보는 것도 필요합니다.​

      최대한 자세한 내용을 설명 드리고 싶으나 변경된 내용도 있을수 있으니 참고사항으로 보시면 좋을거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권태민 보험전문가입니다.

    보험을 잘못 가입하거나, 청구를 도와주시는 설계사의 역량이 부족한 경우에도 보험금 청구 및 지급에도 영향이 있습니다.

    또한 보험 청구는 진단서의 질병 코드 기준으로 나오기에 진단 코드가 맞다면 보험사에서 지급해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