숯은 어떻게 열량을 가지고 에너지를 내는지 알고 싶습니다.
캠핑을 가거나 고기를 구울 때 숯을 많이 쓰는데, 이게 어떻게 연료로서 열량을 가지고 또 스스로 타면서 에너지를 방출하는지 궁금합니다. 제가 알기로는 숯은 참나무 종류를 태워서 만든 건데, 이미 다 탔다면 에너지가 없어야 상식적이지 않을까요? 태우는 과정에서 새로운 연료로 만들어지는 어떤 다른 요소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 숯이 연료로서 열량을 가지고 - 또 스스로 타면서 에너지를 - 방출하는 이유는 숯이 - 완전 연소가 아닌 불완전 - 연소를 거쳤기 때문입니다. - 숯은 참나무와 같은 나무를 태워서 - 만들지만 완전히 태우지 - 않고 불완전 연소를 유도하여 만듭니다. - 완전 연소는 연료가 산소와 - 완전히 반응하여 - 이산화탄소와 물로만 분해되는 과정입니다. - 불완전 연소는 연료가 산소와 - 완전히 반응하지 않고 - 일부 성분이 남아있는 상태로 분해되는 과정입니다. - 숯은 불완전 연소를 거치면서 - 목재의 주성분인 - 셀룰로오스가 탄소로 분해됩니다. - 이 탄소는 숯의 주성분으로 - 높은 열량을 가지고 있습니다. - 숯은 불완전 연소 과정에서 - 일산화탄소 메탄 - 수증기 등의 가스가 발생합니다. - 이러한 가스는 산소와 반응하여 - 열을 방출하면서 - 숯을 계속해서 태우는 역할을 합니다. - 숯은 이미 다 탔지만 불완전 연소 - 과정에서 탄소와 가스가 - 남아 있기 때문에 - 연료로서 열량을 가지고 또 - 스스로 타면서 에너지를 방출할 - 수 있습니다. - 참나무와 같은 나무를 가공하여 숯을 - 만들기 위한 재료로 준비합니다. - 재료를 숯가마에 넣고 가마의 입구를 - 막아 산소의 공급을 제한합니다. - 가마를 가열하여 목재가 불완전 연소되도록 합니다. - 일정 시간이 지나면 가마의 입구를 열고 숯을 꺼냅니다. - 이 과정을 통해 만들어진 숯은 높은 열량을 가지고 있으며 - 스스로 타면서 에너지를 방출할 수 있습니다. - 캠핑이나 고기 구울 때 숯을 - 사용하는 이유는 이러한 특성 때문입니다. -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