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3.04.16

금의 생산량도 시대에 따라서 점점 줄고 있나요?

경제에서 사람들은 통화량에는 관심이 많은데

금가격 말고 생산량에 대해선 별로 말이 없는 것 같더라고요

솔직히 공급에 비해 수요가 많아야 가격이 올라가는 것인데

금의 생산량이 어떻게 되는지 너무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김한 경제전문가blue-check
    김한 경제전문가
    구름
    23.04.16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너무 많은나라에서 채굴하다보니 사실상 정확한 수치는 어렵고 동식적인 늘어나고 거래하는 양으로 보면

    약 3,000톤 ~ 3,500톤정도 된다고 보고 있습니다.

    금이 아직까지는 생산량이 연간 50~100톤 정도씩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HS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의매장량은 유한하고 생산량은 광산의 개발과 업그레이드 문제인데 이것도 쉽지 않습니다 수요는 있는데 공급이 부족하니 금은 앞으로도 희소가치가 클것으로 기대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의 생산과 관련된 업계의 자료에 따른다면 2021년도 세계 광산의 금 생산량은 약 3,580톤이였으며 이는 2020년도의 3,480톤보다 약 3% 증가한 수치라고 합니다. 그리고 2022년도의 세계 금 생산량은 약 3,660톤으로 2021년도에 비해서 약 2.2%정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세계 최대의 금 생산국가는 중국이며, 중국의 산둥성 광산은 2021년도 생산을 중단하였다가 2022년도부터 재개함에 따라 금 생산량은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러한 금 생산량은 2024년도까지 지속적으로 새로운 광산이 발견되고 기존 광산들이 확장되면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며 2027년도부터 조금씩 감소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과 같은 경우에는 생산을 늘리려고 한다고 하더라도

    탐사하고 인플라를 구축하는 등의 시간이 상당히 소요되어

    채굴이 한번에 늘어나기는 어려우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연간 대략 3500톤을 약간 상회하여 채굴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