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성실한오징어189
성실한오징어18921.10.11

왼쪽 가슴 콕콕거립니다. 왜 그런걸까요

24세 여자 입니다.

왼쪽 가슴에 통증이 2~3일 전부터 한번씩 콕콕 거립니다.

왜 그런걸까요..........

eyes-icon
개인 정보가 담긴 콘텐츠일 수 있어요.
질문의 내용을 확인하고
[사진 보기]를 눌러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증상으로 보아서는 일시적으로 나타난 근육통증으로 보여집니다.

    일시적으로 나타난 통증이라면 당분간은 관련된 운동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본인의 신체 능력 이상으로 운동을 했거나 잘못된 자세로 인하여 관련 부위의 일시적 손상 및 피로 누적으로 보입니다.

    보통은 충분한 휴식 이후에 증상이 사라지며 통증이 사라지면 다시 운동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하지만 휴식뒤에도 계속해서 통증이 나타난다면 반드시 정형외과나 재활의학과 방문하여 검사 진행해보시길 바랍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1.10.13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노동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가슴통증에는 여러가지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심장, 폐, 근골격계 등등이 그 원인이죠. 찌르는 듯한 통증이거나 움직일 때마다 아픈 경우 심장이나 폐보다는 근골격계의 일시적인 통증일 가능성이 더 큽니다. 대표적으로 갈비연골염이 흔한 가슴통증의 원인입니다. 조금 지켜보시다가 증상이 너무 심해지거나 내과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도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중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흉통은 가슴이 조이듯한 통증이 지속되는 양상이며 간혹 팔이나 어깨도 방사통이라 불리는 같은 통증을 호소하기도 합니다. 12전극 심전도 검사로 심장의 이상을 보거나 심근효소수치를 혈액으로 확인할 수 있고 심장이 불규칙하게 뛰는 부정맥이 동반된경우 24시간홀터모니터검사를 통해 24시간동안의 심장의 전기 신호를 기록해 검사하게 됩니다.

    숨을 들여마실때 유발되는 찌릿한 양상의 통증은 갈비뼈와 주변 근육의 통증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앞가슴 옆구리 등까지 갈비뼈는 가슴전체를 둘러싸고 있고 염증이나 손상 심하게는 미세 골절등이 숨쉴때 통증을 유발합니다. 손으로 특정 부위가 누를때 아픈지 확인해 보세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강창규 치과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추정 가능한 질환 : 협심증


    협심증의 원인 :

    (1) 심한 스트레스를 받는 상황

    (2) 관상동맥 협착, 혈전이 좁아진 관상동맥을 막음

    (3) 관상동맥의 경련으로 혈관이 좁아져서 발생

    협심증의 증상 :

    (1) 가슴 통증, 가슴의 불편감

    (2) 어깨, 목, 턱, 팔 등의 통증

    (3) 오심, 피로감, 숨이찬 느낌, 어지러움, 복통

    협심증의 치료방법 :

    (1) 금연, 기름진 음식 회피

    (2) 약물치료: 아스피린, 혈압약, 혈관 확장제 복용

    (3) 관상동맥 중재술, 관상동맥 우회술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옥영빈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본 게시판은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과 관련된 의학적인 상담을 하는 곳이며 질문자님께서 문의하신 사항은 코로나 관련 의학적인 내용에 해당하지 않기 때문에 적절한 상담 및 답변을 드리기 어렵습니다. 관련하여서는 의료 게시판에 문의해보시길 권고드립니다.

    다만 말씀하신 증상만으로는 특별한 질병을 의심하긴 어려울 것 같으니 심장혈관내과 진료 및 검사를 받아보시길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