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럭키맹이
럭키맹이22.01.03

적극적인 육아방식이 미래에 어떤 영향이 있을까요?

요즘은 아이들이 귀한 때라 한명한명 굉장히 열성적으로 육아를 합니다. 저희 집도 마찬가지구요,

그런데 티비 프로그램등을 보면 정말 키우기 힘든 아이들이 있기도 한게 사실입니다.

예전 저희 기성세대가 자랄때는 이렇게까지 잘 되게 케어를 해주지 않았을텐데 지금 보면 잘들 살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잖아요? 그래서 아이들을 보살피면서 이렇게까지 애기때부터 신경이 곤두서서 잘 못 될까봐 육아를 하나 맞나 싶기도 합니다.

전문가분들은 이런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찬로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 입니다.

    맞는 말씀이세요.

    기성세대라고 표현하시는 요즘 부모님들 세대와 달리

    현재의 아이들은 심하게 케어한다 생각하실거에요.

    여러 전문가분들의 의견이 다 다를 수 있지만

    제 개인 의견을 말씀드리자면,

    저도 질문자님 의견처럼 아이를 너무 애지중지 하면서

    좋은 것 찾아 먹이고, 조기 언어 교육에..

    말이 좀 느리면 발달센터에..

    너무 힘들게 양육 안해도 충분하다고 생각해요.

    부모의 욕심에 오히려 아이들이 힘들고 지쳐하는 것 아닌가 생각되요.

    적극적인 육아 방식이 아이에게 때로는 약이 아니라 독이 될 수도 있다고 보여지고요.

    이 또한 부모의 성향이기에 모두 존중해주는 것이 맞다고 생각도 드네요 ^^


  • 안녕하세요. 이수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모든 것은 장단점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말씀하신대로 아이들이 귀해서 가정에서 열성적으로 육아를 하다보니 요즘 아이들 평균 지능이 예전보다 높은 것도 사실입니다.

    그러나 그에비해 다양한 발달상 보여지는 문제들도 굉장히 다양한 양상으로 드러나는 것 또한 사실입니다.

    저는 어떤것이든 극단적인 것은 결국 병리적이다는 입장입니다.

    예를 들어 과잉보호와 방임은 맥락을 같이 한다고 봅니다.

    저희 상담실에 오시는 부모님들께 제가 드리는 말씀은

    첫번째로 "넓은 울타리"가 되어주시길 말씀드립니다.

    최소한의 한계 말하는데요,

    1.나를 다치게 하는 것

    2.남에게 피해를 주는 것

    이 정도가 적당한 것 같습니다. 그 외에 가풍에따라 한계를 정하실 수 있겠지요.

    넓은 울타리 안에서 아이가 실패와 좌절을 경험해볼 수 있어야 합니다.

    요즘 부모님들은 아이들이 좌절과 실패를 경험하기 전에 먼저 조치를 취하려고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질문자님께서 걱정하시는 부분도 아마 이부분이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아이가 부모님을 안전기지 삼아 세상을 마음껏 탐색해볼 수 있도록 넓은 울타리가 되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두번째로 "조망능력"을 키우시길 당부드립니다.

    조망이란 새가 하늘에서 땅을 내려다보는 것으로 아이를 키울때는 한걸음 멀리 떨어져서 보시기를 권유드립니다.

    당장 밥을 몇숟갈 안먹는다고, 당장 학교에 몇 번 지각한다고 아이 인생이 끝나는것이 아니라는 것을 말씀드립니다.

    아이를 키우다보면 너무 세심한 것에 집중해서 그것에만 몰두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럴때 조망능력이 필요합니다.

    모쪼록 제 의견이 질문자님께서 고민하시는 부분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성문규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젊은 세대 부모님들께서 아이를 본인이 못했던 것들 교육이라던지 맛있는 음식 아이가 갖고싶고 하고싶었던 것등등을 해주고 싶은 심리에서 비롯된 것 같습니다 그렇다고 예전 기성세대와 같은 육아도 정답은 아닙니다

    그 둘의 적절한 조화가 잘이루어지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