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향우 몇년이 걸려야 종식이라는 말이 나올까?
앞으로 같이 공존해야하나요 멸식이 될까요?안되면 어떻게 해야하며 어떤식으로 되처를 해야하는지 걱정도되고 의운입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코로나 바이러스는 변이가 잘되며 전파력이 강하기 때문에 독감처럼 완전히 종식되기는 힘들것으로 보입니다.
이런 상황을 잘 이해하고 대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지만 바이러스에 감염이 되지 않게 노력할 수 있어요.
코로나 백신으로 생기는 항체는 6개월정도 작용을 한다고 합니다.
코로나바이러스는 변이가 잘되는 바이러스이기 때문에 이후에 유행하는 바이러스는 그에 맞게 만들어진 백신을 접종해야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독감 예방접종을 하듯이 코로나 바이러스도 예방접종을 해야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아무리 심한 바이러스도 결국에 이겨내는 것은 몸의 면역력이기 때문에 평소에 면역력을 높일수 있도록 하고 백신을 정기적으로 접종하며 방역수칙을 잘 지킨다면 코로나바이러스를 예방할수 있어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소중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코로나의 종식은 단기간내에는 어려워보입니다.
변이바이러스가 많이 생기고,또한 변이바이러스로 인한 돌파감염사례도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습니다.
그래서 전세계적으로 확진자가 다시 증가하고 있습니다.지속적인 백신개발,치료제개발,집단면역이 형성등이 이루어져야 어느정도 코로나가 끝날것입니다.
그래도 완벽히 끝나는게 아닌 독감처럼 어느정도 공존할것으로 생각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한상민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은 독감을 일으키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와 비슷하게 될 것 같습니다.
우리는 많은 인플루엔자바이러스중 매해 유행 할 것 같은 4개 정도의 형태에 대해서 집단 면역을 형성하고 대응 하지만 매해 엄청나게 많은 수의 독감 환자가 발생합니다.
코로나바이러스도 인플루엔자와 비슷하게 될것이라고 생각됩니다.
백신을 매해 접종하게 되고,타미플루같은 적절한 치료제가 나와 코로나바이러스와 공존하게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궁금증이 해결되셨을까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중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현재의 백신접종 속도라면 2022년까지 집단면역에 도달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10월말 11월초 정부가 위드코로나를 추진하는 근거는 전국민 70%가 2차접종을 완료 한 후 집단면역을 기대하기 때문입니다.
아래 첨부한 통계를 보면 돌파감염자 비율은 10만명당
교차접종 12.6명 < 화이자 25.9명 < 아스트라제네카 87 < 얀센 153명입니다
이를 퍼센트로 환산하면
교차접종0.0126% < 화이자 0.0259% < 아스트라제네카 0.087% <얀센 0.153%입니다
이는 마스크를 쓰고 접종이 완료될 경우 위드코로나 정책으로 선회해 사회활동을 재개할 수 있다는 희망적인 수치입니다.
현재 확진자의 90%는 미접종자에서 나오고 있습니다
참고뉴스출처 : https://news.v.daum.net/v/20210911050104776
일상생활은 11월 1일부터 6주간격으로 3단계에 걸쳐 방역수칙을 완화할 예정이고 12월 중순에서는 실외에서 마스크를 벗을 수 있고 2022년 1월부터는 사적모임과 관련된 모든 모임의 제한이 해제될 예정입니다.
11월 1일 1단계해제 12월 13일 2단계해제 1월24일 3단계해제 계획입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진성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위드코로나는 종식보다는 공존으로 간다는 뜻으로 , 현재 코로나 백신의 효과가 얼마동안 지속되는지 아직까지 정확하게 알려지지는 않았으나 효과는 6개월 이상 유지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백신의 지속기간 때문에 현재 부스터샷에 대해 논의중입니다. 현재 정부는 11월 1일부터 위드코로나 '단계적 일상회복' 실행 예정입니다. 기존의 사회적 거리두기를 해제하면서 단계적 일상회복 단계적으로 3차까지 나누어서 완화할 예정입니다. 자세한 사항은 추후 발표할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노동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코로나 바이러스는 기본적으로 감기 바이러스입니다. 독감이나 감기가 매년 기승을 부리듯이 코로나도 우리 사회의 일부가 되었다고 보는 것이 맞을 듯합니다. 개인 방역으로 최대한 감염되는 빈도를 줄이고, 백신을 맞아서 독감처럼 걸리더라도 치명률을 떨어뜨리는 방법이 가장 현명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창윤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사람들이 백신 접종을 많이 하면 할수록 코로나 19에 대한 집단 면역이 생기게 됩니다.
이 집단 면역을 통해서 현재의 코로나 시대로부터 벗어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항상 마스크 착용 및 손씻기는 생활화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양은중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위드코로나가 된다고 하여도, 단계적으로 모임인원이나 마스크 착용제한을 풀 것으로 보입니다.
언제끝날지는 알 수 없습니다.
코로나 바이러스도 자연적으로 계속해서 유전자 돌연변이가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돌연변이에 맞춰서 백신도 계속해서 개발되어야하는 상황입니다.
백신을 맞더라도
마스크와 더불어 사회적거리두기를 계속해서 지켜주셔야 하는 상황입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승우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코로나19가 언제 끝나게 될지는 아무도 알 수가 없습니다.
코로나 바이러스는 전염성도 강할뿐더러 변이도 계속 진행되기 때문에 쉽게 끝나지는 않으리라 봅니다.
하지만 백신과 치료제가 계속 개발되고 있고 하나둘 나오고 있기 때문에 완전히 없어지지는 않겠지만 독감처럼 어느 정도 대응할 수 있는 수준으로는 올라갈 수 있으리라 예상됩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상준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코로나19는 다른 바이러스와 다르게 변이바이러스 생성이 많습니다.그렇기 때문에 백신을 개발하여도 돌파감염등이 다른 바이러스에 비해 높습니다.
많은 전문가들은 코로나가 완전히 없어지지 않고,독감바이러스와 비슷할 것이라고 언급하고 있습니다.
현재 코로나치료제도 지속적을 개발중이고,백신도 더 개발 될것입니다.
완벽히 없어지지는 않겠지만 코로나 이전의 삶으로 짧으면 1-2년뒤에 돌아가지 않을까 싶습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라고 항상 건강하시길.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허재훈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2020년 1월 중국 우한에서 처음 발생한 코로나가 2년가까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백신이 개발되고 접종이 시작됬을때는 코로나가 종식될것이라고 생각됬지만,여러가지 변이바이러스가 생기고 돌파감염이 생기는등 코로나종식은 언제될지 알수가 없는 상황입니다.
현재 머크사에서 경구용 치료제도 출시하였지만,가격도 비싸고 효과면에서 미흡합니다.
현재 여러제약사에서 백신과 치료제를 개발중이고,백신접종등으로 집단면역이 형성되면 코로나가 종식될것으로 생각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병열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위드코로나는 사회적 거리두기 등을 일부 완화하면서 위중증 환자관리에 집중하는 새로운 방역체계를 뜻합니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11월 9일부터 위드코로나를 시작해볼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전국민의 70%가 접종을 완료하는 시점은 10월 마지막주, 항체형성 기간을 고려하면 2주 뒤인 11월 둘째주쯤엔 단계적 일상회복 방역체계를 적용해 볼 수도 있다는 설명으로 해석됩니다.
어떤 방식으로 진행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사안은 발표되지 않았습니다. 사적모임 인원 제한이나 식당·카페 등 다중이용시설의 영업시간 규제가 대폭 완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확진자수가 증가할 수도 있다는 우려가 있습니다. 전국민 백신접종률이 80%가 넘은 싱가포르는 위드코로나 진행 후 확진자수가 급증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단계적 일상회복이 가능하려면 추가적인 병상확보가 중요합니다. 또한 생활치료센터에서 치료하지 않고 재택치료도 확대에 나서고 있습니다. 70세 미만 무증상·경증 확진자이고 입원요인이 없는, 타인과 차단이 가능한 주거환경의 확진자라면 재택 치료가 가능하도록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