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어업계에서 요즘 자주 들리는 말이 있는데 궁금하네요
생물보안법이라는 말이 뉴스나 유튜브 주식관련 컨텐 츠 영상에서 자주 들리는 말인데 구체적으로 무엇을 의미 하는 말인지 궁금합니다 구체적으로 설명좀 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생물보안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생물보안법 (Biosecure Act) 란 미국 의회가 선정한
중국의 우려 바이오 기업과의 거래를 제한하는 법안입니다.
우려 대상으로는 베이징 유전체연구소, 우시앱택, MGI, 컴플리트, 지노믹스 등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생물보안법은 생명체나 생물학적 물질이 외부 환경에 유입되어 생태계를 파괴하거나 인간 건강에 해를 끼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법입니다.
이 법은 주로 유전자 변형 생물체(GMO)나 전염병을 일으킬 수 있는 생물학적 물질의 이동과 관리를 엄격히 규제합니다.
최근 뉴스나 주식 관련 콘텐츠에서 이 용어가 자주 언급되는 이유는 생물보안법이 농업, 제약, 바이오 산업 등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법적 규제 강화가 기업의 생산과 수익에 영향을 줄 수 있어 투자자들이 관심을 갖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생물보안법이란
미국인 개인 건강과 유전정보를 우려기업으로부터 유출되어
비합법적으로 이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법을 말합니다.
미국에서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법률로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생물보안법은 미국의 바이오경제 육성과 국가안보 강화를 위해 중국 기업과의 거래를 제한하는 것을 골자로 합니다. 해당 법안에는 미국 안보에 우려되는 중국 바이오기업으로 우시바이오로직스·우시앱텍·BGI 등 5개 기업이 포함됐습니다.
문의하신 생물보안법은 미국의 안보를 위협하는 생명공학 기업의 미국 시장 진출을 제한하는 법으로 2023년 9월 10일 미국 하원을 통과했으며 중국계 생명공학 기업이 대상이기 때문에 국내 바이오 업계에는 수혜가 기대됩니다.
해당 법안은 지난 1월에 발의되었으며 미국의 바이오 기술을 획득해 미국인의 유전체 데이터를 활용하여 군사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어 중국계 CDMO 업체인 우시 바이오로직스, 우시 앱텍 등이 제재 대상이 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전문가입니다.
생물보안법이란 미국 환자 데이터와 납세자의 돈이 외국 적대국의 바이오기업의 손에 넘어가지 않도록 하는 법안입니다.
생물보안밥은 올해 1월 25일에 법안 문안이 공개되었으며, 상원 및 하원의 통과와 대통령 서명 절차가 남아 있는 법안입니다.
생물보안법의 주요 내용으로는 생물체의 안전 관리, 즉, 위험성이 높은 생물체의 취급, 운반, 보관 등에 대한 규제 강화와 생물 테러 대응, 생물 다양성 보전, 국제 협력 드의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쉽게 말해, 미국 시민들의 개인 DNA 데이터가 불법적으로 공유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중국 정부와 관련된 기업들이 미국 내에서 사업을 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법안이라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에서 정부로부터 지원 등을 받은 기업이 중국의 바이오 기업과 거래를 막는 법안입니다.
법률 안에는 개인 건강, 유전정보를 중국의 우려기업에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조항이 있습니다.
이런 중국 바이오기업을 타겟으로 제정한 생물보안법이 통과하면서 기준금리 인하와 더불어 국내 바이오업계가
수혜를 입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참고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