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육아

놀이

도도한동고비149
도도한동고비149

4세 조금 소극적인 아이입니다

무언가를 시도하려고 하면 적극적이지 않습니다

겁도 많습니다

예를들면, 물분수가 있으면 선뜻 뛰어들지 않습니다

작은 워터파크에서도 머뭇거리며 조심스럽습니다

안정지향적이고, 약간의 완벽주의가 있으며,

내향적인 아이입니다

기질이 그래서 그런걸지

아기때부터 과잉칭찬으로 실패가 두려운건지


어떤 이유가 있다면

어떻게 대해주는게 좋은 방법일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주영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성장하는데 소극적인 아이라고 하여 큰 문제가 있진 않습니다

      안전 지향적인 아이에게 아이 기준에서 안전하지 않는 행동을 하라고 하였을 때 더 스트레스로 와 닿을 수도 있습니다

      천천히 아이에게 호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할 듯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화 잉 칭찬을 받았다면 어릴 때부터 더 잘해야 된다는 압박감이 분명히 자리 잡고 있을 겁니다. 이런 친구에겐 잘하지 않는 여유를 줘야 합니다. 못해도 괜찮다 열심히 하면 된다. 1등을 할 필요는 없다. 이런 식의 말들 말이죠 성향도 있다고 보여집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보통 과잉 칭찬을 받은 아이는 적극적인 성향의 아이로 자라나게 됩니다.

      오히려 아이의 기질자체가 내성적일 확률이 큽니다.

      아이의 자신감을 키울 수 있도록 도와주시기 바랍니다.

      특히 생활 전반에서 아이의 주도성을 키워주세요. 다양한 것을 스스로 해보고 직접 해보게 해주세요 예를들어 입고 싶은옷 고르기, 빨래널기, 식탁차리기 등 아이가 스스로 할 수 있는 일을 직접하게 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내향적인 성격에 부모님의 칭찬에 실패를 두려워할 수 있습니다. 물분수에 주저한다면 어머님이 먼저 뛰어들어 경계심을 낮춰주는 것도 한 방법입니다. 실수하고 실패하면서 배움이 일어나는데 너무 소극적이서서 시도자체를 안한다면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너무 푸쉬하시지는 마시고 천천히 경계수위를 낮춰갈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조금 할수있다는 자신감을 심어주는것도 좋을듯합니다.

      아이에게 작은 미션을 주고 그것을 달성할때 잘했다고 칭찬해주는것도 좋을수있으며

      새로운곳에 가서 자극을 주는것도 좋습니다.

      기질적으로 탐색을 하고 느리게 적응하는 아이의 경우라면

      이럴땐 그냥 기다려주는것이 가장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매사 신중하게 행동하는 건 좋지만, 새로운 활동에 대한 실패의 두려움은 갖지 않도록 해주셔야 겠습니다.

      퍼즐을 다 맞추진 못했지만, 맞출려고 하는 너의 행동은 너무 멋졌어! 등 아이가 시도하려고 하는 행동에 관한 칭찬을 해주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자존감과 자신감을 키워주시길 바랍니다.

      아이에게 목표를 정해주고 이를 성취하게 하여 칭찬을 많이 해주세요.

      아이가 성취욕도 느끼고 자신감도 생겨 보다 적극성을 띌 것으로 보이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박상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두려워 한다면 굳이 그러한 것을 시도시킬 필요는 없습니다

      아이가 그저 시도하는 것이 두려운 것이라면

      도전 정신을 알려줄 필요는 없지만

      물이 무서운 것이라면 굳이 아이에게 트라우마를 줄 필요는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성문규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해보지 않은 것에 대한 두려움이 있는 것 같습니다

      그렇기때문에 우선 무언가를 시도 했을 때 얻는 성취감을 느끼게 해주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양해욱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성향이 느린기질로 보입니다.

      부모님께서 보시기에 다소 답답하고 안타까운 면보가 보일 수 있습니다.

      아이의 성향은 적극적이지 않은것이 아니라 안전을 추구하는 성향이라서 그렇습니다.

      본인이 모든면에서 안전하다고 자신감이 붙으면 적극적인 모습을 보일것입니다.

      그렇게 되기까지 많은 간접체험이 필요합니다.

      아이는 다른 누군가가 행동하는 모습을 관찰하고 그 결과를 탐색하는 모습을 보고 스스로 인지해야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아이에게 수시로 설명해주며 확인시켜주세요.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실수, 실패, 이런 것들을 힘들어하고 두려워 하는 아이들은 자존감이 낮은 아이들인 경우가 많습니다.

      주변에 있는 모든 사람들, 부모님, 조부모님, 선생님 등이 결과에만 칭찬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하지만 아이들의 욕구충족, 즉 자존감을 최대치로 끌어올리려면 항상 과정에 아낌 없는 칭찬을 해야 합니다.

      결과가 아닌 과정을 칭찬해야 한다는 걸 알고는 있지만 쉽게 잊어버리지요

      그리고 아이가 실수했을 때 기 죽이지 말고 그럴 수 있다 라고 쿨 하게 넘기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