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2025년 상반기 원자력 발전량이 8.7% 증가하고 석탄 의존도는 떨어졌습니다. 에너지 전환 과정에 어떤 변화가 있을까요?
원자력 확대 정책이 재생에너지 확대와 기후 목표 실현 사이의 균형을 어떻게 만들어 낼 수 있을까요? 전력망 인프라 개선 없이 지속 가능한 에너지 전환이 가능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원자력 확대는 단기적으로 전력을 공급하는데 장점을 보이지만 원자력 발전만 으로는 재생에너지 진입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친환경 에너지로 빠르게 전환을 진행 중이며 석탄을 줄이고 천연가스로 대체 되고 있지만 이를 장기적으로 볼 때 재생에너지 비중을 높여 기후 목표 달성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따라서 전력 수요는 전기차 및 전기 난방 등으로 급증할 것으로 보이지만 원전과 재생에너지의 병행이 조화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
2025년 상반기 원자력 발전량 증가와 석탄 의존도 감소는 탈탄소화를 향한 긍정적 신호입니다.
정부의 원자력 확대 정책은 재생에너지의 간헐성을 보완하며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도울 수 있습니다. 그러나 원자력에
과도하게 의존하면 재생에너지 투자가 지연될 우려도 존재합니다. 기후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원자력과 재생에너지가
상호보완적으로 발전해야 합니다. 그리고 전력망 인프라 개선 없이 지속 가능한 에너지 전환은 한계가 있으므로 병행
투자가 필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