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약 복용 이미지
약 복용약·영양제
약 복용 이미지
약 복용약·영양제
씩씩한하늘소179
씩씩한하늘소17921.04.02

한달전 조제해온 감기약도 유통기한이있나요?

한달전 병원에서 처방전 받아

약국에서 몸살감기약을 받았습니다

항생제 진해거담제 소화제등 있습니다

일주일병원다니며 많이 호전되었고

마지막으로 가서 조제해온 약이 3일치정도 남았는데

다나아서 버려야하는지 아님 유통기한이 있는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변종석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한달 전에 약은 되도록 안 드시는 게 좋습니다

    물론 처방받은 알약의 유통기한은 3-6개월 정도로 보지만

    디테일하게 증상이 달라졌을 수 있으니

    다시 한 번 전문가에게 상담을 받으시는 걸 권해드려요

    제 답변이 조금이나마 도움되셨길 바랄게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김수재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1. 가능하면 약국에서 폐기하는게 좋습니다.

    -처방약의 경우 약 6개월 정도의 유효기간이 있습니다. 하지만 약이 남았다면 버리는게 좋습니다. 향후 똑같은 증상이 생겨도 전과 지금의 질병명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남은약을 절대 드셔선 안됩니다. 약국에서 폐기하는 것을 권유드립니다.

    답변이 도움 되셨길 바라며, 추가 질문이 있으시면 문의 부탁드립니다.

    항상 건강하시길 바랍니다.

    약사 김수재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강여울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항생제의 경우 임의로 복용을 중단하기보다는 끝까지 드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조제약의 경우 3개월정도까지 보관했다가 복용해도 괜찮습니다.

    다만 성분을 정확히 아는 경우 복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유통기한이 지난약의 경우

    처방받은 전문의약품이나 일반의약품이나 모두 가까운 약국에 폐기를 부탁하면 됩니다.

    다만 제품 그대로 갖다주시지는 마시고,

    알약은 알약끼리 한통에 모아서,

    액상형태의 경우(겔포스도 포함) 큰병에 모아서 갖다주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약이 들어있던 공병이나 포장지들은 집에서 폐기하시면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안가을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일반적으로 알약을 비닐 혹은 종이봉투에 한 번에 먹기 좋게 포장을 해드리는 경우는 보관을 잘 했을 경우 6개월 안에 드시라고 안내드립니다. 약의 제형에 따라 그 기간은 더 짧아질 수 있습니다.

    항생제의 경우 주관적 판단으로 필요에 따라 먹다 안먹다 할 경우 내성 위험이 높아집니다. 그래서 아픈 것이 다 나았다면, 남은 약은 폐기하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약국에 폐의약품을 제형별로 분류하여 갖다주시면 약국에서 수거하여 폐기를 해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안가을약사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노재현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일반적으로 의약품관리지침에 따르면 약국에서 받으신 비닐포장약의 사용가능기간은 1년으로 나와있습니다.

    그러나 혹시 약이 부셔지거나 금이간경우, 외형이 변형된경우, 코팅이 녹아 변색된경우, 서로 달라붙어 덩어리를 이룬경우는 1년 이내의 기간이여도 드시지 마시고 가까운 보건소나 약국에 폐기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송용호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알약이 알루미늄으로 각각 포장되어 있는 압박포장(PTP)의 경우 표기된 유효기한 만큼 사용할 수 있고,

    약포지에 들어 있는 약의 경우 6개월 정도가 유효할 수 있지만, 보관상황이나 위생상태에 따라 더 짧을 수는 있습니다.

    다만, 처방 받은 약의 복용기간을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항생제가 들어있는 경우

    복용을 임의로 중단할 시, 항생제에 대한 내성균이 생길 가능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최용한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처방약은 일반적으로 조제받으신 날짜가 유통기한이라 보시는게 가장 안전하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관환경에 따라 공기나 습기에 노출될 수 있어 약의 효능이 떨어질 수 있기 떄문에

    남았다면 보건소나 약국에 폐기하시는 게 원칙입니다

    단, 의사선생님께서 필요할 때 드시라고 한 약이 따로 있는 건 예외입니다


    해당 약을 드셨을 때와 현재 증상이 똑같다고 하셔도

    디테일하게 약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그 때는 똑같이 목이 아파서 항생제가 필요한 상황일 수 있지만

    현재는 항생제를 안 써도 나을 수 있다면 불필요한 약을 먹어

    내성 확률만 키우기 때문이죠

    항상 건강하시고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이준수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

    항생제는 적절한 복용량과 치료기간이 설정되어 알맞은 양만큼만 처방을 내주십니다.

    복용 중 증세가 나았다고 하여 항생제 복용을 중단하셔서는 안 됩니다.

    다르게 말하면 필요한 만큼 복용하지 못할 상황이라면 추가 처방을 받으셔야 합니다.

    현재 이전의 감기와 증세가 유사하더라도 항생제를 적정량 소지하고 계신 상황이 아니므로

    병원으로 내원하시어 항생제가 필요한 상태인지 진단을 받으시고 처방 및 조제를 받으시길 권장드립니다.

    이와 별개로 처방약은 비닐 포장 등으로 재포장 된 경우 3~6개월 정도를 사용기한으로 보므로

    수중에 가지고 계신 약은 아직 사용기한이 남아있긴 합니다.

    답변이 참고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민석 약사입니다.

    병원에서 처방받으신 약은 6개월정도 보관하면서 상비약처럼 사용하시면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좋아요", "추천"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