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망 증상을 보이는 환자를 간호시 어떤점을 유의하시나요?
안녕하세요 간호조무사가 섬망 증상을 보이는 환자를 간호할때 환자의 안전을 보호하고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간호조무사가 수행해야 할 대처 방법을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이동안 간호조무사입니다.
섬망증세의 따라서 환자분들의 반응이 다르긴 합니다 일단 선망증사이 오면 소리를 지르시는 분도 계시고 벌벌 떠시는 분들도 계시고 막움직이시고 침대에서 떨어지려고 하시는 분들도 계시는데 일단 낙상방지를 해주시는게 좋구요 벌벌 떠시는 분들이 계신다면 의료진에게 보고를 하고 환자분 주위에 물건이 없는지 확인하고 떨어질꺼 같은 물건들은 최대한 멀리 놓아 두시는게 좋습니다 그리고 소리를 지르는 사람들이 계신다면 대화로 진정을 시켜주시는게 좋습니다 다른 환자들도 피해가 안갈수 있도록 따로 있으면 좋고 환자분께서 익숙한 목소리를 들면 괜찮아 지시는 분들도 계시기 때문에 너무 심한분 아니시라면 가족의게 부탁을 해서 지정 시켜주시는것도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송진아 간호조무사입니다.
섬망 환자에게는 안전 확보가 최우선으로 침대 난간 사용과 보호자 동행등 낙상 예방을 합니다.
환자의 혼동과 불안을 완화하기 위해 친숙한 환경과 일상 루틴을 유지합니다.
의사소통은 간단하고 명확하게 반복적 설명과 부드러운 목소리로 진행합니다.
증상 변화나 이상 행동은 즉시 간호사나 의료진에게 보고하여 적절한 조치를 받도록 합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간호조무사입니다.
간호조무사는
환자와 좋은 관계를 유지하는 것은 간호조무사로서의 중요한 덕목 입니다,
환자들은 병원에서 불안하고 두려움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환자 말을 공감하는 태도를 보이면서
환자이 이름을 불러주며 친근하게 대화를 하는 것이 좋겠구요,
무엇보다 환자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것이 필요로 합니다,
안녕하세요. 임경희 간호조무사입니다.
섬망 증상이 있을때 환자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안전과 안정을 고려해야 하며 낙상하지 않도록 침대 난간을 올려줘 위험을 방지하고 필요 시 보호자와 함께 있도록 해야 합니다. 그리고 환자가 주사기 및 카테터 등 의료기구를 스스로 제거하지 못하도록 주의하고 의료기구 관리에 신경을 써서 대처해야 합니다.
또한, 섬망환자가 심리적으로 안정을 찾을 수 있도록 안정된 목소리로 대화하여 불안감을 줄여줘야 하며 가족이 환자 곁에 있어 심리적 안정에 큰 도움을 주게 됩니다.
섬망이 신체적, 정신적 등 복합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자극을 최소화 하여 환자의 증상이 완화 될 수 있도록 관찰과 영양공급 및 약물 관리를 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