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외로운고래123
외로운고래12323.02.22

ETF 환헤지라는게 어떤 뜻인가요? 설명부탁드려요.

해외 지수 추종 ETF 를 사려고하는데

환헤지라는게 따로 있더라구요.

이게 환율을 헷지한다는건데 어떤 것을 말하나요?

환율의 변동과 상관없다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지식iN '절대신 등급' 테스티아입니다.

    * 네, ETF 자체를 환율 변동 위험에서 '고정(헤지)' 시킨다는 것으로써, 이 경우 아무리 미래 환율이 떨어진다고 해도 그만큼 환차손이 나지 않으며, 반대로 환율이 올라도 그만큼 환차익을 얻을 수 없다는 게 단점으로 지적됩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해외 지수 추적 ETF에 투자하는 맥락에서 환율을 헤지한다는 것은 환율 변동이 투자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거나 없애기 위한 조치를 취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해외지수추종 ETF에 투자할 경우 해외시장의 기초자산 가격변동 뿐만 아니라 국내통화와 외국통화의 환율변동에 따라 투자가치가 영향을 받습니다. 국내 통화의 가치가 외화에 비해 증가하면 해외 시장에 대한 투자 가치는 다시 국내 통화로 환산될 때 감소하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헤징은 선물 계약이나 특정 기간 동안 특정 환율을 고정하는 옵션과 같은 금융 상품을 사용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는 환율 변동이 투자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거나 제거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환헤지가 가능한 ETF는 끝에 (H)라고 표시가 되어 있는데요. 달러 강세가 이어지면 환율 변화에 연동한 해외펀드는 수익률이 갈수록 높아지지만 환헤지를 해서 환율을 고정시킨 해외 펀드는 달러 강세의 수혜를 받지 못해서 수익률이 저조하게 됩니다. 따라서 환헤지 ETF를 할지 환헤지가 안된 ETF를 할지는 환율이 어떻게 움직이는지에 따라 잘 선택할 필요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희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환율에 상관없이 주가에 따라 움직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달러가 1400원대나 1300원 이상이라면 노려볼 수도 있는 상품이죠. 다만 이처럼 단기로 특정 목표가 있어 투자하시는게 아니라면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계속해서 모아가신다면 환율이 낮아지는 시기가 오고 그때와 비교하게 되면 장기수익률에서 차이가 많이 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환헤지라는 것은 환율변동에 따른 가치 변동이 없고, 순수히 지수에 대한 변동만 영향을 미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