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소탈한곰36
소탈한곰3622.10.18

미국의 금리를 올리면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과 이게 왜 우리나라 물가가 계속 올라가는 원인이 되지는 궁금합니다.

요즘 대한민국의 물가가 계속 올라가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게 우리나라 만의 문제가 아니라 전 세계적인 문제인 것 같습니다.

궁금한 것은 미국의 금리를 올리면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과 이게 왜 우리나라 물가가 계속 올라가는 원인이 되지는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의 현재 기준 금리는 올해와 내년까지 점진적 상승이 예상됩니다. 지난 9월 21일 발표한 FOMC 회의록 내 점도표를 보면 현재 3.25% 보다 모두 높은 수준의 금리를 예상하고 있습니다. 올해 말의 경우 거의 모든 연준의원들(19명으로 점도표는 19개의 점으로 표시)이 4% 이상의 금리 수준을 예상하고 있고 내년에는 5%에 육박하는 금리 수준을 과반 수 이상 예상하고 있습니다.

    모두 현재 수준 보다는 금리가 더 오를 것으로 예상했고 미국 기준 금리가 일종의 벤치마크 이고 금융 시장 안전과 원화 환율 제어 및 수입 물가 관리를 위해서 한국은행도 기준 금리를 미국 기준 금리 수준으로 인상할 수 밖에 없습니다.

    현재 3%의 금리는 올해 말 4% 가까이 될 것이고 내년에는 미국처럼 4% 중후반 정도까지 점진적 상승이 예상됩니다.

    한국 경제는 필수재를 대부분 수입합니다. 에너지, 광물, 곡물 등을 모두 수입에 의존하는데 수입 시 지불하는 통화가 기축통화인 미달러입니다. 원화가 미달러 대비 약세면 그만큼 더 많은 원화가 필요하고 이는 결국 수입 가격 상승으로 수입 물가 상승과 직결됩니다.

    이상 간략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경제는 내수경제가 25% 비중에 외수의 비중이 75%를 차지하기 때문에 수출의 의존도가 매우 높으며, 우리나라는 지하자원이 거의 없기 때문에 수출을 하기 위한 제품들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원자재의 대부분을 수입해야 합니다. 국제 무역에서는 대부분이 달러로 거래가 되며(유럽지역은 유로를 받기도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달러환율이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클 수 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환율을 결정하는 요인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최근에는 미국과의 기준금리 차이로 인해서 환율의 변동이 매우 큰 상황입니다. 예를 들어서 미국의 경우는 1금융권이라고 가정하고 한국의 경우는 2금융권이라고 가정을 한다면 안전한 1금융권에서는 금리를 3%를 주는데 불안한 2금융권에서는 금리를 2%를 주게 된다면 당연히 대부분의 사람들이 금리도 높고 안전한 1금융권에 자금을 예치하려고 하게 됩니다. 1금융권에 대한 수요 증가 즉, 미국에 대한 투자 수요증가는 달러의 강세를 가져오며(미국에 투자를 하기 위해서는 달러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환율의 상승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이렇게 상승한 환율은 우리나라 기업들이 생산에 필요한 원자재의 수입 가격을 상승시키게 되는데요. 예를 들게 된다면

    1.환율이 1,000원일 때 : 100달러짜리 원자재를 구입하기 위해서는 10만원이 필요

    2.환율이 1,400원일 때 : 100달러짜리 원자재를 구입하기 위해서는 14만원이 필요

    즉, 환율이 상승하게 되면 원자재 수입가격이 상승하게 되고 상승한 원자재가격을 토대로 제품을 생산하게 되면 제품가격도 상승하게 됩니다. 즉 제품의 가격상승은 우리나라에 유통되는 제품 및 상품들의 가격의 상승이며, 이는 인플레이션이 상승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는 것입니다.

    보통은 제품이 생산되기까지는 4개월에서 6개월이 소요되기 때문에 환율상승시 매입한 원자재가격으로 인해서 그 달에 즉각적인 인플레이션 상승이 일어나지는 않고 짧게는 4개월 길게는 6개월뒤에 인상된 가격이 반영되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경우는 7월에 달러가 상승하기 시작했다는 것을 감안한다면 11월부터 물가가 상승할 가능성이 높아진 상황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 한번 부탁드릴게요! 좋은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물가가 올라가는 것은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보다는

    현재 원유가격의 불안정세와 더불어서 원유가격의 상승이 가장 큰 원인입니다.

    미국에서 기준금리를 올림으로써 우리나라도 투자자본 유출 등을 막기 위하여

    금리를 올려야 하는 것이며 그리고 우리나라 또한 자국 내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하여

    금리를 올리고 있는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성삼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물가인상은 우리나라 문제뿐만 아니라 전세계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입니다. 코로나사태이후 시중에 풀린 막대한 자금으로 인해 화폐가치하락에 따른 물가상승으로 이를 막기위해서 시작된 금리인상은 러시아와 우쿠라이나 전쟁에 따른 원유가격 상승과 곡물공급불안정 그리고 기후변화등으로 생산량 감소까지 더해지면서 인플레이션 문제로 전세계가 영향을 받고 있는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