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16

동학 농민 운동의 전개 양상이 궁금합니다.

반봉건과 반외세 운동으로 갑오개혁에 영향과 국권 수호 운동을 일으킨 의의가 있고요. 그러나 근대 사회 건설을 위한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하지는 못한 한계가 있네요.

그래도 동학 농민 운동의 전개 양상이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굉장한비오리121
    굉장한비오리12123.05.16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860년 최제우에 의해 동학이 창시 되었고 평등사상이 널리 퍼지기 시작함

    그러자 권력을 갖고 있었던 사람들이 동학을 금지시키고 혹세무민의 죄로 최제우를 처형

    그러자 최시형에 의해 동학이 농민 대중에게 더욱 확산 조직됨 (교조신원운동)이 전개

    전라도 군수 조병갑이 불법착취와 동학교도들을 탄압

    1894년 전봉준을 중심으로 전라도, 충청도 일대 농민들이 연합하여 고부민란을 일으킴

    관아를 점령한 정봉준은 정부에 조병갑의 횡포를 시정할 것과 외국상인의 침투를 금지하라는 등의

    요구를 제시, 그리고 폐정을 시정하겠다는 약속을 받고 해산

    그러나 고부민란을 조사하러온 안핵사 이용태가 오히려 민란관련자들을 역적으로 몰고 다시 한번 동학

    농민운동의 봉기가 시작됨

    제1차 봉기(반봉건 운동)

    폐정개혁안 12개 항목

    ① 동학교도는 정부와의 원한을 일소하고 서정에 협력

    탐관오리 엄벌

    ③ 횡포한 부호를 엄징

    ④ 불량한 유림과 양반의 무리를 징벌

    ⑤ 노비문서 소각

    ⑥ 천인에 대한 대우 개선

    ⑦ 청상과부의 개가 허용

    ⑧ 무명잡세 일체 폐지

    ⑨ 관리채용 시 지벌을 타파하고 인재 등용

    ⑩ 왜와 통한 자는 엄징

    ⑪ 기왕의 공사채를 무효로 할 것

    ⑫ 토지는 평균하여 분작

    제2차 봉기(반외세 운동)

    정부가 도저히 자신들의 힘으로 동학군을 막을수 없자 일본의 힘을 빌림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동학농민운동은 1894년 전봉준을 중심으로 김기범, 손화중, 김개남 등의 동학 지도자들이 고부 군수 조병갑의 횡포에 대항하여 탐관오리의 숙청과 보국 안민을 목적으로 시작되었습니다.

    갑오년에 발생한 이 농민운동은 주변지역에 급속도로 파급되어 농민들의 지지를 받았습니다.

    동학농민운동의 성격은 처음에는 지역적인 민란의 성격을 지녔으나 이후 확산되는 과정에서 지역적 봉기를 지양하고 반침략, 반봉건을 지향하는 총체적 사회구조의 모순을 개혁하고자 하는 운동으로 전개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항 이래, 조선을 둘러싸고 전개된 열강의 정치적, 경제적, 군사적 침략 경쟁은 갑신정변 후에 더욱 가열되었다. 청국과 일본 간의 침략적 대립은 더욱 격화되었을 뿐만 아니라, 러시아와 영국까지도 조선 문제로 충돌을 하게 되었다.1) 이러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조선의 관료 지배층은 외세의 침략에 적절한 대응책을 세우지 못한 채, 타협과 굴복을 일삼음으로써 당면 문제에 해결 능력을 보여 주지 못하였다.

    더욱이, 개항 이후 국제적 분쟁으로 인한 배상금 지불과, 근대적 문물 제도의 수용에 필요한 경비 지출 등으로 국가 재정은 더욱 궁핍해지고, 지배층의 농민에 대한 압제와 수탈이 가중되었다.

    조선의 농촌 경제는 일본의 경제적 침투로 피폐해져 갔다. 개항 이후, 가장 먼저 침략의 손을 뻗치고 있던 일본의 세력은, 정치적인 면에서는 임오군란과 갑신정변을 통하여 크게 약화되었으나, 경제적인 면에서는 오히려 강화되었다.

    일본 상인들은, 처음에는 청국 상인들과 마찬가지로, 주로 영국의 면제품 등을 싸게 사다가 비싸게 파는 중계 무역을 하였으나, 점차 자국 제품으로 대치하여 막대한 이익을 취하였다. 당시, 조선의 일본에 대한 수출품은 미곡이 30% 이상을 차지하였는데, 일본 정부의 정치적 비호를 받은 일본 상인들은 조선 농민의 가난한 형편을 이용하여, 입도 선매(立稻先賣)나 고리대의 방법으로 곡물을 사들여 폭리를 취하였다. 1890년대 초에는 조선의 무역에서 일본이 수출 총액의 50% 이상, 수입 총액의 90% 이상을 차지할 정도였다.

    이러한 일본의 경제적 침략에 대응하여, 함경도와 황해도 지방에서는 곡물의 수출을 금하는 방곡령을 내리기도 하였으나, 일본의 항의로 배상금만 물고 실효를 거두지는 못하였다. 이리하여 농촌 경제는 갈수록 피폐해지고, 농민들의 일본에 대한 적개심도 커 갔다.

    이와 같이, 자본주의 열강의 침탈과 지배층의 착취로 인하여 농촌 경제가 파탄에 이르게 되자, 농민층의 불안과 불만이 더욱 팽배해 갔다. 한편, 대내외적인 정세의 변화에 따라, 농촌 지식인들과 농민들의 정치 의식과 사회 의식이 급성장하여 사회 변혁의 욕구가 고조되었다.

    이 무렵, 동학의 교세는 삼남 지방을 중심으로 확대되어 갔다. 동학의 인간 평등 사상과 사회 개혁 사상은 새로운 사회로의 변화를 갈망하는 농민의 요구에 부합되었고, 포접제(包接制)의 조직은 농민 세력의 규합을 가능하게 하였다. 그리하여 종래의 산발적이고 분산적이던 민란 형태의 농민 운동은 농민 전쟁의 형태로 바뀌어 갔다.동학 농민군의 봉기

    동학의 교세가 확장되자, 동학 교도들은 삼례와 보은 등지에서 대중 집회를 열고, 교조 신원 운동을 벌여 동학을 공인받으려 하였다. 이들 집회는 동학 교도와 농민이 참가한 대규모의 집회로 발전하여, 탐관 오리의 숙청, 일본과 서양 세력의 축출을 요구하는 정치적 구호를 내세우더니, 마침내 동학 교단 중심의 종교 운동을 농민 운동으로 전환시켜 갔다.

    동학 농민 운동은 대체로 네 단계로 전개되었다.

    제1기는, 고부 민란의 시기로서, 고부 군수 조병갑의 횡포와 착취에 항거하여, 전봉준이 1천여 명의 농민군을 이끌고 관아를 습격하여 군수를 내쫓고, 아전들을 징벌한 뒤 곡식을 농민들에게 나눠 주고 10여일 만에 해산하였다.

    제2기는, 동학 농민 운동의 절정기로서, 전봉준, 손화중, 김개남 등의 지도하에 동학 농민군이 보국 안민(輔國安民)과 제폭 구민(除暴救民)의 기치를 내걸었던 시기이다. 동학 농민군은 고부와 태인에서 봉기하여 황토현에서 관군을 물리치고, 정읍, 고창, 함평, 장성 등을 공략한 다음 전주를 점령하였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동학 농민 운동은 초기에는 민란의 양상을 띠고 있었으나

    정부가 수수방관하며 대응을 제대로 하지 않자 점차 민란의 성격을 벗어나 대대적인 농민 전쟁의 성격을 띠어 갔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