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에 미세 플라스틱이 많은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바다에 미세플라스틱이 많아 바다생물들이 피해를 보고 있다는 소식을 들었던 것 같아요.
바다에 미세플라스틱이 많은 이유가 궁금한데, 미세플라스틱이 왜 많을까요?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
바다에 미세 플라스틱이 많은 이유는 사람들이 버린 플라스틱 쓰레기가 하천과 강을 통해 바다로 흘러 들어갑니다.
이 과정에서 큰 플라스틱이 햇빛, 파도, 마찰 등에 의해 작게 부서져 미세 플라스틱이 되는 것입니다.
인류가 사용하는 플라스틱이 너무 많고 적절히 처리되지 않아 바다로 흘러들어간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현상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바다로 인간이 만든 플라스틱이 흘러들어가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처럼 분리수가거 잘되는 나라도 불법투기로 인해 플라스틱들이 바다로 흘러들어가게 되는데 분리수거를 하지 않는 나라들에서 만들어진 플라스틱들은 소각하지 않는 한 매립을 하면 자연스레 토양과 하천으로 흘러들어 결국 바다까지 도달하게 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안녕하세요. 박정철 전문가입니다.
바다로 흘러 들어간 플라스틱 병, 비닐봉투, 어망 등 큰 플라스틱 쓰레기들이 햇빛, 파도, 물리적인 마찰 등에 의해 점점 작게 부서지고, 바다에 이미 존재하는 엄청난 양의 플라스틱 쓰레기가 계속해서 미세플라스틱으로 변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일부 각질 제거제, 치약, 세안제 등에 사용되는 미세한 플라스틱 알갱이가 하수도를 통해 바다로 흘러 들어가는 경우도 있고, 플라스틱 제품 생산의 원료가 되는 작은 플라스틱 알갱이가 운송이나 생산 과정에서 유실되어 바다로 흘러 들어가기도 합니다.
이러한 다양한 경로를 통해 바다로 유입된 미세플라스틱은 해류를 타고 넓게 퍼져나가며, 바닷속 생물들에게 심각한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육지에서 버려진 쓰레기와 산업 폐기물이 주로 강이나 하수도를 통해 바다로 유입되어 집니다.
이는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버려져 바다에 떠다니거나 해양 오염을 나타냅니다.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문가입니다.
전세계 강이나 하구 그리고 바다에서 버려지거나 폭우 등으로 플라스틱은 바다로 모여들고 있습니다. 바다로 모여든 플라스틱은 파도와 자외선이나 기계적인 마찰에 의해 조각난 플라스틱으로 5mm 이하의 크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다양한 크기로 바닷물을 떠돌면서 해양환경에서 자연분해되지 않고 축적되어 해양생물의 몸속으로 스며들고 있습니다. 미세플라스틱은 파도에 휩쓸려 바닷가 모래와 함께 다양한 색상의 미세플라스틱이 축척되며 자리잡고 있는 현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