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우리나라는 아직도 장자승계를 많이 할까요?
우리나라는 제가 봐도 유난히 자식에게 회사를 물려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다보니 나쁜것만 배워서 회사가 좀 커지면 물전분할을해서 분리해버리고 결국 본사는 껍데기만남은 회사가 되는 경우가 참 많다고 봅니다
왜이렇게 우리나라는 경영권을 세습할까요? 경영은 경영을 잘하는사람이 해야되는거 아닌가요?
언제까지 이러고 있는건지 답답하네요 이러니 우리나라 기업들의 주가도 개판이고 국민들 등골만 빼먹을려는 사기꾼들이 판을치는거 같은데 어떻게들 생각하시나요?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경영권 세습은 한국의 기업 문화에서 여전히 흔한 현상으로, 여러 이유가 복합적으로 작용합니다. 전통적으로 가족 경영은 안정성과 신뢰를 중시하며, 종종 기업의 장기적 지속 가능성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그러나 현대 경영 환경에서는 전문 경영인의 도입과 효율적인 조직 운영이 중요한데, 일부 기업은 세습 구조로 인한 경영 비효율성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주가 하락과 기업 투명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대한민국은 현대화가 되었으나 유교문화의 잔재가 아직 남아있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과거에는 장자에게 유산등을 많이 물려주는 문화가 아직도 전해지고 있습니다.
다만 이는 많이 퇴색되었으며 삼성전자만 봐도 3남 이건희회장에게 물려주었습니다.
현대화 되면서 무조건 장자 승계가 아닌 실력있고 능력있는 자녀에게 물려주는 세상이 되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이게 기업을 위한게 맞다고 생각되어 집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전경훈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에서 경영권 세습이 지속되는 이유는 복합적입니다. 역사적으로 유교 문화의 영향으로 가족 중심의 기업 문화가 형성되었고, 이는 현대 기업 구조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또한 법적, 제도적으로 경영권 승계를 용이하게 하는 구조가 존재하며, 이는 대기업 집단의 지배구조 유지에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경영권 세습의 문제점으로는 전문성 부족, 혁신 저해, 기업 가치 하락 등이 지적됩니다. 이는 장기적으로 기업의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불공정한 기회 분배와 사회 불평등 심화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업 지배구조의 개선, 전문 경영인 제도의 활성화, 주주권 강화 등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정부 차원에서의 제도 개선과 함께 기업들의 자발적인 변화 노력도 중요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우리나라의 장자승계는 문제가 많다고 생각합니다.
예전 1960년대 경제 개발 시대 부터 우리나라 기업들은 정부의 재정 지원과 산업화 정책을 통해 대기업들이 성장을 했고 이 과정에서 창업자의 가족이 경영권을 장악하는 구조가 생기게 되었습니다. 그 이후 지속적으로 장자승계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고 아직까지도 이뤄지고 있는데요.
최근 몇개 기업들이 문제가 있는것들이 발견되고 있는데 가족 승계가 아닌 전문 경영인 혹은 능력 중심의 경영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우리나라는 왜 아직도 장자승계인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이는 우리나라 문화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유교적 사상과 가부장적인 사상이 아직도
첫째 아들에게 많은 것을 물려주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1명 평가우리나라의 뿌리깊은 유교문화때문입니다.
요즘은 딸에게 경영권 물려주는 경우도 있기는 하지만 여전히 장자승계가 많습니다.
엘지같은 경우가 입양까지 하면서 아들 승계로 이어지고있습니다.
장기적으로는 미국처럼 가족이 아닌 전문경영인과 대주주 이사회 등을 통해 경영이 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장자승계는 우리나라 등 동아시아 국가에서 전통적으로 이어오는 것으로, 사실 이런 경영세습이 문제가 되어 국내 증시도 투자자금 유출이 심한 상황입니다.
빨리 서양처럼 경영 방식이 바뀌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에는
유교권 문화 등이 아직도 남아있는 등
이에 기업 승계 및 장자 승계 등이
상당하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니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