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파파닉
파파닉
22.12.19

물가와 금리는 무슨 관계가 있나요?

물가가 오르는 것을 방어하기 위해 금리를 계속 올릴거라고 신문에서 보도 하는 걸 봤어요.


금리가 오르면 화폐 가치가 떨어지니까 물가가 올라간다는게 이해가 되는데 금리를 올리는게 물가가 오르는걸 방어한다는 건 이해가 잘 안됩니다.


물가를 방어하는데 왜 금리를 올려야 하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류경태 경제전문가blue-check
    류경태 경제전문가
    22.12.19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물가는 흔히 인플레이션율이라고 하는데, 인플레이션율이 상승하게 되는 것은 시중에 유통되는 화폐의 양이 많아지면서 질문자님이 말씀주신대로 화폐의 실질적 가치가 떨어지게 되면서 발생하는것입니다. 즉, 인플레이션 상승의 원인은 '시중에 유통되는 화폐의 양'이 문제가 되는 것이기 때문에 인플레이션을 낮추기 위해서는 '화폐의 양'을 줄이는 것이 중요한 것입니다.

    그래서 인플레이션이 발생하게 되면 금리인상을 하게 되는데, 금리인상과 인플레이션 하락의 흐름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인플레이션 상승

    2. 기준금리 인상으로 인한 대출금리 상승

    3. 대출금리 상승으로 인한 개인들의 대출이자비용 부담 증가

    4. 대출이자비용 부담 증가로 인한 개인들의 소비지출 감소 및 저축 증가 (시중에 유통되는 화폐가 은행으로 들어가게 됩니다)

    5. 소비지출 감소로 인한 기업들의 판매실적 하락과 재고 증가

    6. 기업들의 재고 증가로 인해 상품을 저렴한 가격에 판매 시작 (물가의 하락)

    조금 단순하게 흐름을 표현하였는데, 결론적으로는 금리를 상승시키게 됨으로서 시중에 유통되는 화폐의 양이 감소하게 되고 이로 인해서 인플레이션이 낮아지게 되는 결과로 이어지게 된다고 생각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2.12.20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물가가 오르면 금리도 상승하여 물가를 하락시킵니다. 반대로 물가가 하락하면 금리도 하락하여 물가를 올려 줍니다. 금리 인상 또는 인하는 시장 상황에 따라 자율적으로 조절되기 보다는 정부 정책사항이라는 것입니다. 따라서, 물가가 오른다고 해서 금리가 자동적으로 올라는 것은 아니고 어느 기간까지 계속해서 동결되어 있다가 물가 상승 조짐이 심각하다고 판단될 때에 금리 인상 정책을 펴게 되고, 물가 하락 등 경기 침체가 지속될 위험이 있을 때 금리 인하 정책을 펴게 됩니다.

    즉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상하는 경우를 생각해보면 먼저 은행의 예금 및 대출금리가 상승하면서 기업이나 가계는 대출을 덜 받고 저축을 더하고자 하는 유인을 갖게 됩니다. 은행도 높아진 이자부담으로 대출자들이 돈을 제대로 갚지 못할 것을 우려해 대출에 더 신중해지게 됩니다. 그 결과 기업의 투자와 가계의 소비가 줄어들면서 경제활동은 둔화되고 물가는 하락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물가상승의 원인은 공급부족과 함꼐 초과수요입니다. 금리인상은 기업과 개인의 가처분소득을 감소시키고 이를 통해 수요를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결과적으로 초과수요를 억제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동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간단히 예를 들어 생각하면 저금리 시절에는 부동산 가격이 치솟다가 금리가 올라가니까 대출을 끼고 집을 사기에 이자가 너무 비싸니까 집 수요가 줄어 들면서 집값이 떨어지는 것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를 올리게 되면 소비와 투자 심리가 위축 되면서 제품/서비스/자산 등의 가격이 하락하게 됩니다.

    금리가 상승하였고, 추가 상승에 대한 전망이 있다면 사람들은 당장 물건을 소비기보다는 저축 등을 통해서 이자 수익을 얻으려고 하는 욕구가 증가할 것입니다.

    그리고 투자 활동 또한 둔화 됩니다. 금리 상승은 곧 대출 금리 하락을 의미 합니다. 부동산 투자, 주식 투자 등이 둔화 되는 흐름을 나타내면서, 자산 시장 또한 약세가 나타나게 됩니다. 이런 경우에는 자산 증식으로 인한 부의 효과 또한 제한 되기 때문에 물가 상승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