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내과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심장판막역류가 뭔지 알려주세요...

성별
여성
나이대
00

오늘 병원에서 심장판막역류라는데 심장판막역류가 뭔가욥?... 아직 심하지않아서 1~2년 뒤에 다시 검사해 보자고 하시는데 심각한 거 아니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최성훈 내과 전문의
    최성훈 내과 전문의
    고려병원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

    전신으로 피가 원활하게 공급되고 순환하기 위해서는 한 방향으로 피가 흘러야하는 데, 이와 같이 혈액이 역류하는 것을 막는 역활을 심장 판막이 담당하게 되고 문제가 생겼을 경우 혈액이 흐르는 방향과 반대로 역류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노화 과정에 의해 경미한 판막 역류는 문제가 되진 않겠으나 추적검사를 권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병관 내과 전문의입니다.

    심장의 판막은 피가 다시 역류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데, 판막의 기능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에 혈액이 역류될 수 있습니다. 심하지 않으면 너무 걱정하지 않아도 될 것 같습니다.

    삼첨판, 이첨판, 대동맥, 폐동맥 판막등 어느 부위에 어느정도 역류가 있는지가 중요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신성현 내과 전문의입니다.

    심장판막은 혈액의 흐름을 한 방향으로 유지시키는 문짝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 문짝이 한 방향으로만 열리듯이 심장판막도 한쪽 방향으로만 열리고 반대쪽으로는 열리지 않습니다. 만약 판막이 잘 닫히지 않아 혈액이 역류한다면 이를 "폐쇄부전"이라고도 합니다. 심장은 4개의 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에 따라 심장판막도 승모판막, 대동맥판막, 삼첨판막, 폐동맥판막으로 나뉩니다. 여러 판막에 동시에 역류가 발생할 수 있지만, 임상적으로 중요한 것은 승모판막과 대동맥판막입니다.

    심장판막 역류증은 판막의 손상이나 심장의 구조적 변화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어린 시절 목감기의 후유증으로 류마티스열을 앓고 난 후 심장판막이 손상되는 경우가 흔합니다. 또한 나이가 들면서 판막에 퇴행성 변화가 생기거나 태어날 때부터 구조적 이상이 있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심장판막에 문제가 생겨도 바로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는 경우는 드뭅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호흡곤란, 흉통, 가슴 두근거림, 피로감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특히 운동 시 호흡곤란을 느끼고, 증상이 심해지면 휴식 중에도 호흡이 가빠질 수 있습니다.

    판막 역류증이 있다고 해서 바로 수술이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대부분의 경우 증상이 없거나 경미한 역류는 내과적인 약물 치료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미세하거나 가벼운 판막 역류증은 2-3년마다 심장초음파를 권유하며, 중등도 이상의 역류증은 매년 검사를 권장합니다. 역류가 심해지면 6개월마다 검사를 시행하여 수술 시기를 조율합니다.

    수술은 역류증이 심해져 활동 시 호흡곤란이 나타나고 심장이 기준 이상으로 커지는 경우에 고려합니다. 수술 방법으로는 병든 판막을 제거하고 인공 판막으로 대체하는 인공판막 치환술이 있습니다. 또는 환자의 판막을 유지하며 판막 성형술을 시행할 수도 있습니다. 수술 후에는 정기적인 검진과 약물 복용이 필요합니다.

    검진 초음파에서 판막 역류가 발견되었다고 해서 바로 놀라실 필요는 없습니다. 역류의 정도와 증상에 따라 대처법이 달라집니다. 약물치료가 필요한지, 추가적인 약복용이 필요한지는 순환기내과 전문의와 상의해야 합니다. 검진이나 추적관찰 초음파에서 역류증이 발견되었다면 수술 시기와 방법에 대해 순환기내과 및 흉부외과 전문의와 상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의 추천 버튼을 눌러주시기 바랍니다~

  • 심장에는 판막이라는 것들이 존재합니다. 그것은 쉽게 말하면 심장이 전신으로 혈액을 공급하기 위해서 수축하는 수축기에는 열렸다가, 전신으로 공급하였던 혈액을 돌려받는 이완기에는 닫히는 기능을 합니다. 그런데 판막의 기능에 이상이 있을 경우에 생길 수 있는 문제들이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역류입니다. 원래는 제대로 닫혀서 피가 역류를 하면 안 되는데, 그렇지 못하게 되면 원래 가야 하는 반대 방향으로 피가 역류하게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심방에서 심실로만 혈액이 가야 하는데 반대로 역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