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도비만 무릎보호대 괜찮을까요?
현재 링피트(맨몸운동,스쿼트 등등)과 걷기정도를 하고 있습니다. 182/125 정도 되는데 어릴적부터 비만이였구요
무릎이 딱히 평소에아프진않고
무리하면 찌릿? 하는느낌 정도랑
잠깐 통증이 있고 사라졌는데요
고도비만 다이어트 후기를 보다가 무릎이 망가진
사람이 많길래 무릎보호대를 인터넷에서 구매하여 사용중인데(의료보단 헬스용..? 투X게인 니슬리브 착용중입니다) 제일 큰 사이즈도 제 허벅지 둘레보다 작고(한 10cm? 꽉 낍니다)그냥 착용하고 운동을 했더니 갑자기 평소에 무릎통증이 생겼습니다
꽉 끼는 무릎보호대가 문제일까요?
병원에서는 휴식을 3주정도 취하라해서 3주정도 취하고 다시 운동을 해도 일상 생활에서 통증이 있네요
ㅠㅠ 전문가분들의 조언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안중구 소아과의사입니다.
무릎에 가해지는 반복된 부하가 통증의 원인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관절 근육 인대등의 통증으로 진료 시 물리치료의 경우 온찜질 또는 냉찜질을 하게 됩니다. 냉찜질은 통증이 일어난 직후 급격한 염증반응과 손상을 줄이는데 도움이 되며 온찜질은 혈관을 이완시켜 혈액순환을 촉진해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만성적인 근육통증, 관절통증으로 불편하다면 온찜질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현재로서는 운동으로 인한 무릎 통증이 시작된 것인지 보호대 때문인지 명확하지 않습니다. 체중 감량을 위해서는 유산소 운동이 추천되면 이를 위해서는 실내 자전거 타기 혹은 수영 또는 물속에서 걷기 운동이 추천됩니다. 증상이 지속되면 정형외과에 내원하여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과도한 장력을 가하는 보호대는 오히려 악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과체중에서 무릎 보호대는 효과를 보이기 때문에 적절한 장력으로 착용하는 것은 추천드립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먼저 무릎에 체중부하가 덜되는 운동들부터 시작해서 체중감량 후 무릎에 부하가 되는 운동을 하는게 맞습니다.
자전거 타기, 수영이나 물속에서 걷기운동을 해서 체중부하를 최대한 줄인 상태에서 근력운동하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노용성 의사입니다.
스쿼트를 안하시는게 좋죠. 고도비만이시면 무릎에 하중을 최대한 줄이면서 운동하셔야합니다.
간단한 걷기 (손잡이가 있다면 손잡이 잡고 트레드밀) 식단조절을 먼저 시행하고 체중이 빠지면 운동하시기 바랍니다.
운동을 해서 아픈거지 무릎보호대 때문은 아닙니다
고도 비만 상태에서는 아무리 무릎보호대를 착용하여도 운동을 할 경우에 무릎에 무리가 가고 통증이 유발될 수 밖에 없습니다. 관련하여서는 우선 식단으로 체중을 충분히 감량한 뒤(예를 들어 체중의 10%)에 수영, 하늘자전거 등의 중력의 영향을 받지 않는 운동을 통해 추가로 감량을 하고, 이후에 무릎에 부담이 최소화 될 정도의 체중에 도달하면 헬스 등의 운동을 하는 것이 안전한 감량방법입니다.
안녕하세요. 이근수 의사입니다.
무릎 보호대를 착용시 무릎이 안정감은 생기지만 주변 근육들이 약해질 수 있습니다. 근육이 약해지면 무릎에 더 큰 무리가 갑니다.
가장 먼저 식이조절을 통해 체중을 줄이시는것을 추천드립니다.
추가적인 질문사항이 있으시면 댓글 주세요. 답변 달아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지금은 그래도 나이가 젊어서 무릎이 많이 아프지는 않을 겁니다. 물론 무리한 운동을 하다보면 점점 무릎에 문제가 될 가능성이 높아서 운동을 하실 때도 조심하시면 좋겠습니다. 무릎 보호대를 착용하는 것이 무릎 통증을 줄이는데 도움이 되기는 합니다만, 착용을 해도 무릎에 충격이 되는 운동은 가급적 피하셔야 합니다. 뛰는 것이나 줄넘기, 점프하는 동작 이런것만 조심하시면 되지요. 사용해 봤을 때 무릎 보호대가 불편하시다면 안 쓰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아직 통증이 있다면 무리해서 무릎 운동은 하지 마시고 가벼운 스트레칭이나 다른 운동은 해보시면 좋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