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피부과

숙연한소163
숙연한소163

코로나주사 대신 붙일 수 있는 패치가 나왔다던데

패치 붙일때까지 주사 안맞고 기다릴 수 있을까요? 부인과 관련 질환때문에 부정출혈이 겁나서 주사를 아직 못맞았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양은중 약사
      양은중 약사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양은중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https://www.ytn.co.kr/_ln/0105_202109271110021041

      "주사 대신 붙이면 끝"...美 '코로나19 백신 패치' 개발

      상용화 되기까지는 많은 시간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노동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아직은 시기상조입니다.

      현재 개발 중인 백신이나 치료제 관련된 내용은 회사 차원에서 기밀 사항입니다. 관련 내용은 회사 내부 인사들만 알 수 있고, 그것을 유출해서도 안됩니다. 때문에 의료인들은 알 수가 없습니다. 나올 때까지 기다리는 수밖에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중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코로나 감염 후 생기는 폐의 손상은 시간이 지나도 복구가 어렵습니다. 소아에서 급성호흡곤란 증후군으로 인공호흡기를 단 환아의 폐상태와 비슷한데 이런 손상된 폐는 아이가 자라 정상 폐조직이 자라서 증상이 완화되는 것이지 손상된 조직이 복구되어서가 아닙니다. 무증상자에게도 이러한 증상이 관찰되므로 반드시 백신접종이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전혜원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머크사에서 몰누피라비르 라는 약을 3차 임상시험을 신청했고 내년쯤에는 나오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개발이 완료된 상황은 아니고 3차 시험이 들어간 거면 어느정도 건강한 사람들에게 약의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판단됩니다. 머크에서 개발하고 있는 약의 원리는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을 표적으로 하지 않고 바이러스의 중합효소를 표적으로 삼아서(참고로 중합효소는 코로나19 유전물질인 RNA 복제를 담당합니다) 이 효소에 오류를 유도해 복제를 못하도록 합니다. 국내에서는 아직 개발이 되지 않았고 외국에서 나온 이후에 개발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이런 치료제가 정식으로 나오게 되면 독감 처럼 백신 접종과 혹시나 감염이 될 경우 치료제를 통해 치료가 되는 상황이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최정수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머크사에서 몰누피라비르를 개발 중이고 이 약은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을 표적으로 하지 않고 바이러스의 중합효소를 표적으로 삼는 물질입니다. (참고로 중합효소는 코로나19 유전물질인 RNA 복제를 담당합니다) 몰누피라비르는 이 효소에 오류를 유도해 복제를 못하도록 설계됐다고 합니다. 따라서 백신과 달리 변이에 영향을 받지 않는 장점이 있다고 합니다. 따라서 이 약을 감염 초기에 투여하면 효과적일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현재 연구가 진행 중이고 11월 초에 마칠 것으로 예상되며 올 초 소규모 중간시험에서 코로나19 환자들에게 다양한 분량의 몰누피라비르를 복용하도록 했는데 복용 5일 뒤 양성 반응을 나타낸 이들이 아무도 없었다고 합니다. 화이자도 2,3 상 시험에 들어갔고 로슈도 개발중이라고 하네요. 치료제가 나오게 되면 독감처럼 매년 백신을 맞고 감염이 된 경우는 치료제를 사용하게 되는 시대가 오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창윤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어떤 약품이든 부작용 있을 수 있습니다. 어떤 약품이 나올지라도 부작용 가능성 있으므로 현재 가능한 백신을 빠르게 맞는것이 가장 안전하고 좋겠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수재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패취제의 경우 현재 개발을 시행하고 있으나 아직 임상3상이 들어가있지 않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출시되기가 어렵습니다.

      임상 3상을 진행중이면 어느정도 1-2년 안에 나올 가능성이 있으나 아직 임상시험이 제대로 들어가지 않아 언제 나올지 정확히 말씀드리기 어렵습니다.

      1년안에 나올 가능성은 거의 0이라고 생각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민석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미국 스탠퍼드대학교와 노스캐롤라이나 채플힐대학교 공동연구팀이 3D프린팅 백신 패치 '마이크로니들 백신'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습니다. 패치에 백신약물을 넣고 피부에 붙이면 체온에 의해 녹으면서 미세침을 통해 피부 안쪽으로 흡수되는 방식입니다. 일반 주사형 백신보다 10배 더 큰 면역반응을 나타냈다고 밝혔습니다.

      패치형태는 주사형태보다 사용하기 쉽고 주사에 반해 접종할 때 통증이 없으며 자가 관리가 가능하다는 등의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기존 주사형 백신은 영하의 온도에서 보관해야했는데 패치형태는 보관조건이 더 편하다고 합니다.

      하지만 코로나19 예방백신을 패치형태로 개발했다는 것이 아니므로 패치형 백신이 나오려면 시간이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경태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아직 국내에 사용할수 있는 백신은 4개 뿐입니다.

      화이자/모더나는 mRNA 백신이고, 얀센/아스트라제네카는 바이러스벡터 백신입니다. 얀센/아스트라제네카는 혈전이슈가 있습니다. 화이자/모더나는 심근염 이슈가 있습니다.

      화이자/모더나는 90%대, 얀센/아스트라제네카는 60%대 항체형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영지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기다리는 것은 본인의 선택입니다. 하지만 패치를 붙이는 주사가 언제 나올지는 아직 알 수 없습니다. 신중하게 생각하고 판단하시길 바랍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아무도 알 수 없습니다. 현재 패치로 붙일 수 있는 것이 나왔다 하나 임상에서 쓰일 수 있을지 아직은 정확히 알 수 없습니다. 또한 mRNA 백신은 인류가 이번 코로나 사태를 계기로 처음으로 mRNA를 사용했습니다. 따라서 mRNA 백신들이 추후에 어떠한 부작용 등이 나타날지는 아무도 예측할 수 없는 상태입니다. 즉 지금은 괜찮더라도 시간이 지나면서 부작용 및 후유증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승우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코로나 패치는 마이크로니들 기술로 만들어진 백신으로

      주사로 접종하시는 백신과 동일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아직 정식적으로 승인되어 나오지 않았지만

      나오더라도 주사와 큰 차이가 없다고 보실 수 있습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옥영빈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백신 접종은 권고 사항이기 강제 사항은 아니기 때문에 주사를 맞지 않고 기다리시는 것은 질문자님께서 마음대로 하셔도 괜찮겠습니다. 다만 패치가 정확히 어떻게 개발된지는 모르겠지만 패치라고 하여 부작용이 없을 것이라는 확신은 없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