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영악한딩고41
영악한딩고41
22.10.13

CPI와 우리나라경제와 어떤 연관성이 있나요?

CPI는 미국소비자물가지수인데 우리나라와 어떤 연관이 있길래 주목을 하는 건가요?

그리고 CPI가 현시점 보다 지속적으로 오르거나 낮아졌을 때 어떤 현상이 발생하게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 CPI의 경우 미국의 금융정책과 경제정책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또한, 미국의 경제정책은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전세계의 국가의 경제시장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미국 CPI의 발표는 우리나라에 간접적으로 큰 영향을 미칩니다.

    현재상환도 미국의 CPI로 인해 미국의 급격한 금리 인상이 진행되고 있고, 이에따라 우리나라의 기준금리도 함꼐 오르면서 대출금리 상승, 주식시장 부진 등의 결과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성삼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미국의 cpi지수는 이 지수를 참조하여 미국연준의 금리인상 결정에 참고를 하기때문입니다.미국연준는 인플레이션 목표치를 위해서 금리인상을 계속해서 올리고 있으며 미국연준의 금리인상에 따른 우리나라 기준금리도 이에 대응하기위해서 인상을 하기에 cpi지수는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미국의 CPI 지수를 통하여 미국 연준의 금리결정이

    방향이 정해지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기준금리는 미국의 영향을

    상당히 많이 받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중요하고 CPI 지수가 지속적으로 상승한다면

    연준은 금리를 더 인상하여 각 자산시장이 침체될 가능성이 있고

    낮아진다면 인플레이션이 완화됨에 따라 시장에서 호재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비슷한 질문이 있으셔서 아래 답변으로 갈음합니다. 소비자물가지수(CPI)는 미국의 금리 인상의 속도와 폭을 결정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

    현재 글로벌 경제의 핫 이슈는 미국의 금리입니다. 미국이 금리를 올리는 이유는 높은 물가 수준으로 2~3%가 적당한데 근래 7~8% 내외의 높은 물가 수준을 보이고 있어 미연준이 빠르고 크게 금리를 인상한 것입니다. 금리 인상의 명분은 물가와 연관된 지표와 경제 현황을 직관적으로 보여주는 실업률입니다. 미국 실업률은 양호한 3%대 수준이고 CPI 같은 물가지표가 높다면 금리 인상의 명분과 환경이 조성된 것입니다.

    미국의 금리 인상은 강달러를 더 강하게 만들고 한국 등 주요국의 금리와 환율에 크게 영향을 끼칩니다. 어제 한국은행이 연속 0.5%를 올리는 빅스텝급 금리 인상을 단행한 것도 가계부채가 부담스럽지만 환율과 물가 부담 때문에 일부 경기 냉각을 감수하고 인상을 단행한 것입니다. 미연준의 FOMC 회의가 11월 초, 12월 중순 두 차례 남아 있습니다. 미연준이 금리를 다시 올리게 되면 원화 환율과 물가는 다시 뛸 가능성이 크며 한국은행이 다시 금리를 올리면 가계부채 부담은 더 크게 되고 부채 부담이 큰 기업들의 도산이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상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