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꾸준한흰죽지66
꾸준한흰죽지6623.10.08

태양빛은 오랜지색 또는 붉은 색으로 보이는데 빛의 삼원색을 합하면 흰색이 되는 원리가 뭘까요?

태양빛은 오랜지색 또는 붉은 색으로 보이는데 빛의 삼원색을 합하면 흰색이 되는 원리가 뭘까요? 또한 색의 삼원색을 합하면 검정색으로 되는 이유를 과학적 원리를 통해 설명해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빛의 삼원색을 합하면 흰색이 되는 원리는 가법 혼합원리입니다. 이 원리는 빛의 색상을 다룰 때 사용됩니다.

    가법 혼합 원리는 세 가지 기본적인 색상인 적색, 녹색, 청색을 사용하여 다른 색상을 만들어냅니다. 이러한 기본 색상은 RGB라고도 불리며, 컴퓨터 모니터, 텔레비전 등에서 색상을 표현하는 데 사용됩니다.

    빛의 삼원색인 적색, 녹색, 청색은 각각 다른 파장을 가지며, 우리 눈에는 각각 빨강, 초록, 파랑으로 보입니다. 이 세 가지 색상을 서로 다른 비율로 혼합하면 우리 눈에는 다양한 색상이 보입니다. 그러나 적색, 녹색, 청색을 모두 최대한 밝게 혼합하면 모든 파장의 빛을 포함하는 흰색이 만들어집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빛의 삼원색을 합하면 흰색이 되는 이유는 사람의 눈이 세 가지 색의 빛을 모두 감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빨강, 초록, 파랑의 세 가지 빛을 균등하게 혼합하면 모든 색의 빛을 포함하는 흰색이 됩니다.

    색의 삼원색을 합하면 검정색이 되는 이유는 사람의 눈이 모든 색의 빛을 감지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빨강, 초록, 파랑의 세 가지 빛을 완전히 흡수하면 모든 색의 빛이 사라지게 되고, 검은색이 보이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