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착실한박각시291
착실한박각시29122.10.31

생후 26일 아기 자면서 끙끙대며 얼굴이 빨개지는 이유가 뭔가요?

수유 후 트름시키고 20~30분 후 침대에 눕혀 재우는데 한 30분정도 있다가 계속 몸에 뻐팅기거나 베베꼬고, 끙끙대다가 다시 자고 또 뻐팅기고 꼬고 끙끙대다가 다시 자고를 반복해요

끙끙댈때 안아주면 다시 잘자고요

근데 내려놓으면 좀 이따 또 끙끙대요ㅜㅜ

왜 그런건가요..? 크려고하는건지 속이 안좋은건지 모르겠네요(트름해도 잘 게우는 아기에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1.04

    안녕하세요. 이정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이른바 신생아 '용쓰기' 현상입니다. 초보맘일 경우 아기의 용쓰기는 더더욱 큰 고민일 수밖에없습니다. 신생아 용쓰기는 대부분의 아기들이 거치는 자연스러운 발달과정이므로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생후 2개월 정도면 자연스럽게 사라집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신생아가 몸을 끙끙대며, 자주 비트는 이유는 뭉친 근육을 풀고 성장판을 자극하는 자연스런 현상입니다.

    아기가 배에 힘을 주는 방법이 익숙해질때까지 이어질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특별히 문제가 될것은 없으며

    아이가 소화를 하거나 발달하는 과정에서 나타날수있는 현상입니다.

    이러한 증상은 조금씩 지나면서 좋아질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기가 울거나 컨디션이 안좋은게 아니면 크게 걱정은 안하셔도 될것으로 보여집니다. 신생아가 낑낑 거리는 것은 아기의 비강이 좁아서 소리가 난다고 하니 참고해 주세요.


  • 안녕하세요. 박일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기는 갑자기 힘을 쓰고 몸을 꼬기도 합니다.

    그걸 보통 용 쓴다고 표현합니다.

    자연스러운 현상이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상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소화가 온전히 되지 않은 것으로 생각됩니다

    조금더 소화를 길게 시켜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네요


  • 안녕하세요. 성문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무언가 불편감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네요

    완전히 소화가 되지 않은 것으로 생각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소화가 잘되지 않아서 그럴 수 있습니다.

    트름을 한다고 하더라도 조금 더 안아주시거나 등을

    두드려주셔서 소화를 더 도와주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