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재료공학

완전히맛있는식빵이좋아
완전히맛있는식빵이좋아

스탠리컵 같은 경우는 뜨거운 걸 부어도 잘 뜨겁게 전달이 안 되는 이유가 뭘까요?

평소에 스탠리컵을 많이 사용을 하는데요 가볍고 여러 가지 커피를 마시는 데도 굉장히 좋습니다. 그런데 이 스탠리컵 같은 경우는 뜨거운 커피를 부어도 잡을 때 뜨겁지가 않는데, 왜 그렇게 되는 건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욱 전문가입니다.

    스탠리컵은 이중벽 진공 단열 구조로 설계되어 있어 뜨거운 음료를 부어도 외부로 열이 전달되지 않습니다. 이 진공층이 열 전도를 차단하여 내부의 뜨거운 온도가 외벽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컵을 잡을 때 뜨겁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화 박사입니다.

    스탠리컵은 이중벽 구조로 되어 있어, 내부와 외부 사이의 공기층이 형성되게 됩니다. 이 공기층이 단열 역할을 해 열이 외부로 전달되지 않으므로, 뜨거운 음료를 담아도 겉이 뜨겁지 않게 됩니다. 그래서 커피를 마실 때도 안전하게 잡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한성민 전문가입니다.

    저도 스탠리 텀블러를 많이 쓰는데, 확실히 다른 브랜드의 보온텀블러보다 성능이 좋더라구요..

    간단히 설명드리면, 스탠리는 미국의 보온병 브랜드입니다.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보온병(vacuum flask)의 원조격이라도 할 수 있는 브랜드이며, 금속으로된 진공 이중격벽을 이용해서 보온병을 만드는 특허를 갖고 있었습니다.

    즉, 단순히 스티로폼같은 "단열소재"를 이용해서 열을 차단하거나 보존하는게 아니고, 열이 전도될 수 있는 매질 자체가 빈 공간이 있게 설계하는 원조 회사인 셈이기 때문에 그 기술력이 매우 좋은 것입니다.

    즉, 방식 자체가 특이한 기술이라기 보단 흔히 알고있는 열보존기술의 구현 정도가 매우 높은 기업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신란희 전문가입니다.

    스탠리컵은 이중 진공 단열 구조로 되어 있어 뜨거운 음료를 부어도 외부로 열이 전달되지 않습니다.

    이 덕분에 컵의 표면이 뜨겁지 않고 편하게 잡을 수 있습니다.

    진공 상태가 열 전도를 막아, 음료의 온도를 오래 유지하는 기능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스탠리컵이 뜨거운 액체를 담아도 외부에 뜨거움이 잘 전달되지 않는 이유는 이중 진공 구조 덕분입니다. 스탠리컵은 두 겹의 스테인리스 스틸 사이에 진공층이 형성되어 있어, 열전도가 거의 일어나지 않습니다. 진공은 열을 전달하는 대류와 전도를 차단하므로 컵 내부의 뜨거운 열이 외부로 잘 전달되지 않습니다. 또한, 스테인리스 자체도 열전도율이 상대적으로 낮아 손으로 잡았을 때 뜨겁지 않게 느껴집니다. 이 구조 덕분에 스탠리컵은 뜨거운 음료는 따뜻하게 차가운 음료는 차갑게 오래 유지하면서도 외부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