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이 2천원이 된다면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환율이 2천원이 된다는 건 상상할 수 없겠지만
만약 환율이 2천원이 된다면 경제는 어떻게 변화가 될까요?
궁금하네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환율이 2,000원이 된다면에 대한 내용입니다.
환율이 2,000원이 된다면
앉은 자리에서 우리 한국의 재산 가치가
약 30퍼센트 정도 하락하게 되는 결과를 받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화폐의 가치가 그만큼 낮아졌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휘발유 가격을 시작으로
모든 수입 물가가 크게 상승하게 됩니다
우리나라 국민은 또한 가만히 앉아서 못사는 국가들의 소득수준과 비슷해지게 됩니다
그 이유는 GDP나 1인당 국민소득을 달러로 측정하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우리나라 수출 기업의 실적은 더욱 상승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안상우 경제전문가입니다.
환율이 2000원이 된다면 해외에서 수입하는 원자제들의 가격이 올라가게 됩니다.이렇게 올라간 가격으로 인해서 기업이 생산하는 물품들이 가격이 올라가거나 가격을 올리지 않는다면 수익이 줄어드는 현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오른가격으로 판매가 저조해 지거나 수익이 줄어들게 되어 결국 기업이 타격을 입게 되고 이런 상황은 국내 경제 상황에 매우 안좋은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환율 2000원은 지금보다 거의 약 50%가까이 상승하는 매우 큰 부담의 환율입니다. 이는 실물경제나 금융모두 큰 충격을 줄 수 있는 시나리오입니다.
그리고 이런 환율은 즉각적으로 바로오는것은 물가입니다. 즉 직접적이고 즉각적인 영향은 수입 물가의 폭등이라는 말이며 한국은 에너지의 95% 이상, 주요 원자재와 식료품의 상당 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환율 상승의 충격이 바로 물가에 반영되는 구조입니다. 이는 각종 에너지뿐만 아니라 식료품 가격도 크게 오르게 되며 곡물, 육류, 과일 등 수입 의존도가 높은 품목들의 가격이 30-50% 이상 상승하며, 이는 국산품 가격 상승으로도 이어질 것입니다. 결과적으로 전체 소비자물가지수가 연간 15-20% 이상 상승하는 심각한 인플레이션 상황이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해서 기업의 채산성도 크게 악화되고 내수소비도 크게 악화되는 효과로 이어집니다.
거기다가 원화의 약세는 결국 외국인들의 자본시장의 이탈로 이어질수 있고 그러면서 금융시장즈 자본시장에서도 지금처럼 상승이 아니라 오히려 약세를 보일것으로 보이며 이런 자본시장의 이탈로 이어지면서 한국의 채무부담악화와 그리고 금리상승으로 이어져 이는 다시 이자비용의 상승과 또한 신용등급의 강등 우려까지 발생할 수 있어서 심각한 위기에 빠질 수 있습니다.
즉 결론적으로 단기적으로 환율이 2천원으로 가는것은 한국의 금융시장과 실물경제 모두 악영향을 미치는 최악의 시나리오입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환율이 2천원이 된다면 해외여행이나 어학연수 등의 내용이 엄청 부담스러울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수출물품에 대한 이익이 있겠과, 수입물품에 대한 부담이 증가할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내용의 경우 환율이 일정해야하는데 환율의 변동성이 큰것은 부담성이 증가한다고 볼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변 경제전문가입니다.
환율이 만약에 2천원이 된다면 우리나라는 제2의 imf가 올수도 있습니다.
원화가치의 하락으로 국내에 들어온 달러가 엑소더스 할 가능성이 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