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조선시대 후궁의 딸을 옹주라 했는데, 왜 공주라고 하지 않았나요?
조선시대에는 중전의 딸은 공주라고 했고, 중전 이외의 후궁 등이 낳은 딸은 옹주라고 했다고 하는데요. 왜 모두 공주라고 하지 않고 호칭을 나누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삼국시대 이전부터 공주라는 말을 사용했다고합니다. 그러나 제도적으로 공주라는 호칭은 고려 문종때의 관제에 의하면 정1품이었는데 법제화되지 않았으며, 그 후 공양왕 때 도평의사사의 건의에 따라 왕의 딸을 공주라 불렀으나 조선 초기까지도 제도가 미비하여 공주, 왕녀, 궁주, 옹주 등 여러가지로 불렀으나 왕의 후궁도 공주라 칭했다고합니다. 그 후 성종 때 경국대전 외명부조에서 제도화시켜 왕의 정실이 낳은 딸을 공주라 하고 후궁이 낳을 딸을 옹주로 구별했다고합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남자 아이들도 왕의 부인인 중전으로부터 난 남자 아이들을 대군이라고 했고 그냥 후궁 출신의 남자 아이들은 군이라고 한것과 마찬 가지 입니다. 조선은 신분제 사회 국가 입니다. 그래서 대군과 군, 공주와 옹주를 구분해서 그 신분의 차이를 두고자 했던 것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