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초안산고양이
초안산고양이22.12.25

우리나라도 화폐개혁을 하면 어떤 부작용이 있을까요?

우리나라의 화폐 단위도 높다고 함니다. 현금도 50,000원 .10,000원.5,000원 단위이니. 이런 상황에서 화폐를 바꾸어. 예로 단위를 내리면 50,000원 -> 500원

10,000원 -> 100원 등으로요.

어떠한 장단점이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2.25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리디노미네이션은 화폐 단위를 하향 조정하는 것을 말합니다. 말씀하신 대로 원칙적으로는 화폐의 가치 변동 없이 모든 은행권 및 지폐의 액면을 동일한 비율의 낮은 숫자로 조정하거나, 이와 함께 새로운 통화 단위로 화폐의 호칭을 변경하는 것이기 때문에 소비자의 구매력에는 변화가 없는 것이 맞습니다. 문제는 우수리 절상 문제로 물가가 상승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우수리란 거스름 돈 또는 잔돈을 의미하는데, 예를 들어 1,000:1의 디노미네이션이 시행되면, 1,700원하는 재화는 1.7원이 됩니다. 그러나 이 재화의 가격은 보통 마지막 단위를 올려 2.0원으로 받기 때문에 물가가 상승하게 되는데, 이를 우수리 절상 문제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화폐개혁을 하게 되면 장단점이 있는데 먼저 단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화폐개혁을 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사회적 비용이 너무나도 많이 소요되며, 화폐개혁은 단순하게 화폐단위를 낮추는것이 아니라 새로운 화폐를 주조해야 하고 이에 맞는 시스템까지 함께 개발해야 하기 때문에 새로운 시스템 구축 비용만 수십조원이 발생 할 수 있는 거대 프로젝트가 됩니다.

    2. 화폐개혁을 하게 되면 기존에 발행되었던 화폐들을 회수하고 다시 나누어 가져가게 해야하는데 이 과정에서 많은 사회적 혼란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화폐개혁의 장점을 본다면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

    1. 거래 단위가 낮아지게 되면서 계산이 편리해지고 사람들이 현금을 들고 다닐 때 부담이 적어지게 됩니다.

    2. 화폐를 교환해야 하기 때문에 지하경제에 있던 자금들이 수면위로 올라올 수 있게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