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치즈인사이즈
치즈인사이즈

IMF가 터지고 그 이후에 경제 회복이 빨랐던 이유가 뭔가요?

과거 IMF와 금 모으기 운동 자체가 기업들이 저지른 것을 국민이 살리는 안 좋은 일이었다고 나오고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동의를 많이 합니다. 그런데 그 이후에 2000년부터 한국이 크게 성장을 했는데 이런 이유는 뭘까요? 당시에 GDP부터 성장률까지 엄청 컸는데 보통 한번 국가가 망하면 빠르게 다시 쌓아 올리기 힘든데 한국은 유독 이를 빠르게 쌓아 올렸더라고요. 이에 대해서 경제적인 이유가 궁금합니다. 특별히 한국에서 크게 흥행한 기업이 나오는 것도 아니고 기존 대기업이 유지가 되고 있었는데 어떤 이유로 성장을 하고 IMF 여파를 회복할 수 있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IMF의 자금을 받는 대가로 우리나라는 경제 전반에 걸친 구조조정을 했어야 했는데요. 금융, 기업, 노동 시장 전반에 걸친 변화가 있었는데, 부실한 금융기관들을 빠르게 정리했고, 외환거래의 자유화 및 불필요한 규제 철폐를 진행했습니다. 또한, 대기업 독과점 구조를 개혁하는 등 재벌개혁과 더불어 R&D 투자를 적극 지원해 기술혁신으로 우리나라 경제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지원했습니다. 환율 안정화정책 및 외환 보유고 정책, 고부가가치 신산업 육성 정책을 시행하면서 IMF를 빠르게 극복할 수 있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우선 1980년까지 미국이나 유럽 주요국 모두가 관세가 40프로이상일정도로 매우 높았고 레이건 정부가 들어서며 관세가 10프로이하로 파격적으로 낮아지며 글로벌 자유무역시대와 WTO가 본격적으로 출범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때부터 한국은 그전부터 중공업투자를 정부주도로 하면서 경상수지가 흑자로 돌아서고 이런 수출중심으로 성장한것입니다

    1990년경부터 이런 제조업 투자가 민간으로 중심이 되면서 국내 유동성은 부족한 상황에서 금리가 높아서 상대적으로 외화금리가 낮았던시기였습니다 이에 이들이 외화부채 차입을 크게 늘리면서 기업 외하차입부채가 매우 증가한것입니다

    즉 기업의 수출은 매우 고공성장을 했지만 당시 동아시아의 위기로 글로벌신용경색과 금리가 폭등하면서 당시 국내 기업들이 일시절으로 유동성이 부족하다보니 IMF가 온것입니다

    즉 이런 기업부채가 해결되자 원래 글로벌에서 수출성장을 주도햇었기 때문에 다시금 정상화되자 고환율환경에서 무역수지가 다시금 크게 늘어나는 시기가 오며 금방 정상화된것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IMF 당시에 한국은 구제금융을 받는 조건으로 정부와 기업이 대대적인 구조개혁을 하기로 했습니다. 부실기업들을 정리하고 대기업 구조조정 및 지배구조 개선을 통해서 기업들의 생산성과 수익성이 좋아져서 경제 회복의 발판이 되었습니다. 또한 수출 위주 기업 성장 및 IT 발전으로 2000년댜 초반부터 강한 경제 성장을 이룰수 있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2000년대 초반 우리나라는 IT 산업의 수출이 이끌었습니다

    • 반도체 부분 큰 성장을 앞세워서 실적이 개선되었고 낮았던 GDP가 크게 개선되면서

      성장율이 급등하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