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8.12

음서제도는 어떤 이유로 언제부터 생긴 제도인가요?

보통 현대 사회에서도 고위직의 자녀가 모 자리를 차지하면 이 제도를 입에 담습니다. 이런 음서제도는 과거에 어떤 이유로 시행하게 된 제도인가요? 그리고 이건 조선시대가 끝날때까지 계속되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음서제도가 생긴 이유가 궁금하군요.

    음서제도는 과거 시험을 보지 않고 관리가 될 수 있었던 제도입니다.

    고려 시대 5품 이상 관리의 자제에게 무시험으로 관리가 되게끔 한 제도입니다.
    부모의 음덕을 통해 자제가 덕을 보는 제도로, 공음전 제도와 함께 고려 사회를 귀족 사회로 인식하는 근거가 되었습니다.
    조선 시대는 2품 이상 관리의 자제에게 무시험으로 관리가 되도록 하는 음서 제도가 실시되었습니다.


  • 잘난몽구스218
    잘난몽구스21823.08.13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음서는 문벌귀족관직의 세습을 통해 정치적 기득권을 합법적으로 보장해주는 제도로 삼한 공신의 자손들을 후대하라는 최승로의 시무 28조를 시작으로 성종 대에 당나라와 송나라의 음보 제도를 들여와 5품 이상의 관료의 비속에게 관직을 주는 것으로 시작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권기헌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라는 나라 자체가 귀족들에 의해서 돌아가는 나라였기 때문에 귀적들의 사회적 지위, 영향력 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했죠. 그런 이유에서 자식들의 실력은 전혀 중요하지 않고, 부모의 가문이 자식인 나의 위치를 결정하는 그런 사회였죠.

    그렇기에 현대 사회 또한 부모의 재력에 따라서 내가 실력이 없지만 남들 보다도 더 위에 위치하고, 쉽게 살면서 쉽게 수익을 가져가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