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즐거운가오리188
즐거운가오리188
24.04.16

미국의 기준금리와 RRP잔고는 어떤 관련성이 있나요?

미국의 기준금리가 항상 이슈인데

기준금리 외에도 통화유동성을 조절하는 역레포(RRP)잔고와의 관련성이 궁금합니다


미국의 기준금리가 현재처럼 고금리일 때는

RRP잔고는 어떻게 되는 건가요?

줄어들 게 되는 건가요?

아니면 늘어나게 되는 건가요?


RRP잔고도 한계가 있을 건데

잔고가 0이되는 경우는 기준금리가 어떤 상태일 가능성이 높나요?

미국의 기준금리와 RRP 잔고의 관련성에 대해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김옥연 경제전문가blue-check
    김옥연 경제전문가
    (주)무궁화신탁
    24.04.16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RRP잔고라고 하는 것은 역레포 잔고라고 하는 것으로서, 보통 역레포 잔고가 감소하는 추세가 유지되는 경우 소진될때까지 시중 유동성 효과가 이어진다고 기대하게 되는 것이에요

  • 안녕하세요. 김병섭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의 기준금리와 RRP(역레포) 잔고는 서로 연관성이 있습니다.

    1. 고금리 기조 시 RRP 잔고 증가

    - 기준금리가 높을 때 은행들은 유동성을 RRP에 예치하는 것이 유리해집니다.

    - 은행이 대출보다는 안전자산 운용을 선호하기 때문에 RRP 잔고가 늘어납니다.

    2. 저금리 기조 시 RRP 잔고 감소

    - 기준금리가 낮으면 은행은 예치보다 대출을 늘리는 경향이 있습니다.

    - 이에 따라 단기자금 수요가 RRP보다 다른 투자처로 이동하여 RRP 잔고가 줄어듭니다.

    3. RRP 잔고의 한계

    - RRP 한도 등으로 인해 일정 수준 이상으로는 잔고가 늘어나기 어렵습니다.

    - RRP잔고가 0이 되기 위해서는 금리가 상당히 낮은 수준일 필요가 있습니다.

    요컨대 미국의 고금리 기조 시에는 RRP 잔고가 높아지고, 저금리 기조 시에는 RRP 잔고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양자는 미 연준의 통화정책 기조와 유동성 상황을 반영하는 지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