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밝은큰고니27
밝은큰고니2724.03.27

'마누라'라는 말이 원래는 아내를 높이는 말이었다고 하는데, 왜 의미가 변한 걸까요?

'마누라'라는 말이 원래는 아내를 높이는 말로 극존칭으로 쓰인 말이었다고 하는데, 요새는 조금은 속된 표현으로 쓰는 경향이 있는 것 같습니다. 왜 이렇게 의미가 변한 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마누라는 고려시대 '마노라'에서 왔습니다. 왕, 왕비, 세자, 세자비처럼 지체 높은 분들을 부르는 호칭이었어요. 즉 마마와 같은 호칭입니다. 이후 마노라가 마노라로 변하고 의미가 지금과 같은 중년 이상이 된 아내 또는 일반 보통의 늙은 부인을 일컫는 말로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마누라는 남편이 아내를 허물없이 부를 때 사용하는 표현으로 아내가 집안에서 주도권을 쥐고 있을 때 남편이 마눌님 혹은 마나님 마님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여기서 마누라라는 말이 나왔습니다.


  • 안녕하세요. 권태형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시간이 흐르며 단어마다 그 의미가 하락하거나 변형되기 때문입니다. 마누라는 의미 하락이 일어났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