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저를 닮아서 성격이소심한것 같은데 어떻게 고칠까요?
제가 어릴때부터 소심한성격이였는데 아이도 제 성격을 닮았네요.
소심한 성격 아이 어떻게 고쳐야될까요?.
아이성격 고쳐주고싶네요ㅠㅠ 제성격도 고쳐야되고요..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소심한 성격을 가지지 않게 하려면 아이가 자신이 있다는 느낌을 가질 수 있도록 부모가 해줘야 합니다. - 그렇기 때문에 무슨 일을 하든 아이가 어떻게 생각을 하는지 의견을 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그리고 아이가 잘못을 하더라도 잘할 수 있다고 응원을 해주도록 하고 칭찬을 많이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 또한 무엇을 시키는 것처럼 말을 하기보다는 아이를 높이어 귀중하게 대해야 자신있는 느낌을 갖게 되고 - 좋은 쪽으로 생각을 하게 됩니다. 이와 더불어 아이가 목적한 바를 이루었다는 느낌과 자신있는 느낌을 - 받을 수 있는 놀이기구를 사주는 것이 좋습니다. 소심한 성격을 가지고 있는 아이들은 실외활동을 하기보다는 - 집에서 노는 것을 좋아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조금 걱정이 되어도 실외활동을 할 수 있도록 격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아이의 자존감과 자신감을 길러주세요. - 무언가를 잘 할 떄에는 칭찬을 해주시고 하신다면 - 아이가 자존감과 자신감도 생기는 등 소심한 것을 - 이겨낼 수 있을 것이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소심하고, 숫기가 없고, 조용하고 얌전한 내성적인 아이들이 발표를 싫어하고 표현이 적은 것을 두고 사회성이 없다라고 생각 할 수 있지만 오히려 타인의 말을 더 경청할 줄 아는 태도를 갖고 있습니다 - 평소에 아이의 결과 보다는 행동 하나 하나에 아낌 없는 칭찬을 해줘서 아이의 자존감을 높여 주는 것도 중요합니다 - 다양한 경험을 하게 함으로써 성취감도 생기고, 또한 자존감도 높아갈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 사람들이 많은 장소를 자주 가시는게 도움이 되며 아이가 평소에 잘 하는 행동이라도 칭찬과 보상을 많이 해주세요. - 작은 일에도 성취감을 느낄 수 있도록 공감하고 반응해 주시는게 좋으며 신체적 활동이 소심한 성격 개선에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