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빼어난양241
빼어난양24124.02.01

조선의 왕중에서 독살론에 엮어있는 왕은 어떤 왕인가요?

조선의 왕들중 죽음이 다소 미심쩍어서 독살론에 엮어 있는 왕들도 있다고 들었는데요.

그렇다면 조선의 왕중에서 독살론에 엮어 있는 왕은 누구이며 어떤 배경을 독살론을 갖고 있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에는 인종과 충선왕 공민왕이 독살론을 갖고있고

    조선에는 정조와 고종이 독살론을 갖고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왕 중 독살설에 얽혀있는 왕은 경종, 단종, 고종, 소현세자, 효장세자, 문효세자, 효명세자 등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서호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대부분의 급사한 왕에게 독살설이 있습니다. 당시의 의료기술문제도 있고

    유명하거나 권력있는 사람이 너무 갑자기 죽으면 암살설 나오는건 현대에도 마찬가지 니까요

    독살설이 유명하거나 반쯤 확실시됨 단종,(조카 쫓아낸 세조) 고종(일본의 암살), 경종(게장군주 영조),

    독살설이 있긴 한대 근거가 부족함 효종, 현종, (이덕일이란 현대 학자가 자기 혼자 주장하는 중)

    선조(찹쌀떡 먹다 질식사)

    인종 문종 예종 (공식 사인은 병사)

    연산군(왕일때가 아니라 폐위된 후에)

    정조 (암살 용의자 였던 당파인 벽파와 사실 친했단 기록이 발굴되서 사라짐)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대표적인 사람이 소현 세자 입니다. 실록의 묘사만 봤을 때는 굉장히 수상한 정황이 많다고 여겨졌지만, 한의학계에서는 어의들의 오진 내지는 당시 의학으로 잡아낼 수 없는 중병으로 보고 부정하며, 승정원일기와 심양일기로 소현세자의 잦은 병치레와 진료 과정을 상세히 조사할 수 있게 된 사학자들도 이제는 많이 다루지 않는다고 합니다. 다음으로는 문종인데 공식적 사인은 종기이지만 사실 문약하다는 이미지랑 달리 이전엔 건강한 몸이었지만, 세자로 책봉되고 세자였던 시절에도 이미 건강이 썩 좋지는 않았다 합니다. 특히 부왕 세종의 장례를 삼년상으로 치르다가 건강이 악화된 게 대표적이라고 합니다. 마지막으로 일보에 의해 독살 된것이라고 추정되는 고종의 경우는 자국인인 조선인이 아니라 일본인들에 의한 독살설인데 완벽한 건강을 누리던 황제가 식혜를 섭취한 뒤 반시간 만에 격렬하게 몸이 뒤틀려서 죽었다고 합니다. 황제의 팔다리가 하루 이틀 사이에 엄청나게 부풀어 올라서 통 넓은 한복 바지를 벗기기 위해 바지를 찢어야 할 정도 였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