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시 최근 미국 국채 발행량이 늘었나요?
최근 미국의 주가가 크게 하락했는데 이에 반해서 미국 국채 금리는 크게 하락을 했더군요.
트럼프가 일부로 국채 금리를 내리기 위해서 관세 발언을 한다는 사람들도 많은데 혹시 최근 미국 국채 발행량이 늘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정부는 상당 기간 동안 재정 적자를 기록해 왔으며, 이는 국채 발행량 증가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최근 단기 국채 발행 비중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만기 도래 시 상환 부담 증가로 이어질 수 있으며, 정부가 단기 국채 만기를 연장하거나 중장기 국채로 차환 발행할 가능성을 높입니다. 이는 중장기 국채의 공급 증가로 이어져 가격 하락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국채 공급이 늘어나는 반면, 연준의 양적 긴축, 외국인 및 상업은행의 수요 부진 등으로 수요 기반이 약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는 국채 금리의 변동성을 확대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시호정 경제전문가입니다.
최근 미국 주식시장이 크게 하락한 반면에 국채 금리도 동반 하락하였습니다.
이는 투자자들이 안전자산인 국채로 몰리게 되면서 수요가 증가하여 금리가 하락한 결과로 보입니다.
미국 재무부에서는 2025년 1월부터 3월까지 약 8천억 달러의 순발행을 계획하고 있으며,
이는 이전 예상보다 낮은 수준이며 4월부터 6월까지는 약 1천억 달러의 순발행을 예상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따라서 최근 미국 국채 발행량은 증가하지 않았으며, 오히려 낮아진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강일 경제전문가입니다.
최근 미국에서 주가가 하락하면서도 국채 금리가 크게 하락한 것은 주로 경제 불확실성과 안전자산 수요 증가 때문입니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발표와 중국의 보복 관세 발표로 경기침체 공포가 커지면서 안전자산으로의 투자 유이가 늘었습니다. 이로 인해 10년 만기 미 국채 금리는 6개월 만에 처음으로 4% 하위로 떨어졌습니다. 국채 발행량의 증가가 직접적으로 국채 금리 하락에 영향을 미친 경우는 아니며, 주로 경제 상황과 정책 불확실성의 영향이 큽니다. 트럼프의 관세 발언은 경제 불확실성을 높이는 요인 중 하나로, 이는 실제로 국채 금리 하락에 일정 부분 기여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2025년을 기준으로 본다면 연방정부 재정적자폭 확대로 인하여 더 많은 국채가 발행되었습니다.
재무부에서는 단기채 발행을 늘리면서 부채를 관리하고 있는데 이에 반해 트럼프는 100년만기 국채를
발행하자는 충격적인 주장을 하고 있습니다.
그러니 국채의 금리가 지속적으로 상승할 수밖에 없습니다
과거에는 중국이 미국채를 적극적으로 매입해줬지만 최근 미국채에서 금으로 포트폴리오를 변경하면서
미국의 부담이 더욱 커졌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최근 미국 국채 발행량이 늘었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2025년에 들어와서 미국 국채가 크게 발행량을 더 늘리거나
그런 것으로는 보이지 않습니다.